전북의 초·중·고 학생 10명 중 3명은 '과체중 이상'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 학생과 도시에 비해 농촌 학생의 비만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책임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일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이 각 시도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북 학생들의 과체중과 비만율은 30.6%를 기록했다.
지역 내 학생 335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과체중이 11.5%였고 비만은 19.1%를 기록하는 등 전북 학생 10명 중 3명꼴로 비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 학생들의 비만비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중간 수준에 해당하지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건강 격차와 도시와 농촌 지역간 격차가 적잖은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요청된다.
실제로 서울을 비롯한 부산과 대구, 대전, 광주 등 시(市) 단위 광역단체 학생들의 비만율은 30%를 밑돌아 전북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세종(25.8%)과 경기(27%), 서울(27.2%) 등의 순으로 과체중 비율이 낮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건강 격차가 확인됐다.
박희승 의원은 "이를 도시와 농촌으로 분류했을 때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며 "도시 지역의 비만군은 28.6%인 데 반해 농촌은 33.1%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박희승 의원은 "비만은 단순한 자기 관리 여부를 넘어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이라며 "더욱이 비수도권과 저소득층의 비만율이 더 높은 등 지역과 소득에 따른 건강 불평등을 야기할 우려가 큰 만큼 국가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희승 의원은 만성질환의 원인인 비만을 예방·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정확한 통계와 전문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만예방 및 관리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비만기본법'을 대표발의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