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 간 갈등 요인 중 하나인 층간소음을 줄이기 위한 경기 광명시의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났다. 관내 층간소음 민원이 4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2일 광명시에 따르면 2021년 9월 391건이던 층간소음 민원이 올해 9월 103건으로 73.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공동주택 입주 가구 수는 증가했다는 점에서, 이례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광명시의 층간소음 관리 정책을 들여다봤다.
민원 급증에서 정책 전환의 기회로
2021년은 광명시도 예외는 아니었다. 코로나19로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되며, 일상적 소음이 민원으로 번졌다.
이를 계기로 광명시는 그간 축적해온 층간소음 관리 노하우를 기반으로 정책을 한층 강화했다.
사실 광명시는 이미 2013년, 전국 최초로 ‘층간소음갈등해소지원센터’를 설치한 지자체다. 단순한 민원 접수 창구를 넘어 상담 → 조정 → 예방 교육 → 홍보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왔다.
갈등의 현장을 ‘배움의 장’으로…교육이 바꾼 민원지도
광명시 층간소음 정책의 핵심은 교육이다.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주민 스스로 이웃의 입장을 이해하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체감형 교육 방식을 도입했다.
지난해부터는 ‘모의 층간소음관리위원회’ 역할극이 도입됐다. 공동주택 관리자들이 직접 위원장, 신청인, 피신청인 역할을 맡아 실제 상황을 연기하며 갈등 조정 과정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올해는 아예 연극협회와 손잡고, 연극 형식의 교육까지 시도했다. 현장 관리자들의 높은 몰입도와 자발적 참여율은 정책 효과를 방증한다.
의무가 아닌 교육임에도 90개 단지 중 70여 단지가 참여했고, 연간 150명 이상 수강했다.
어린이 대상 교육도 눈에 띈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층간소음 모의재판’, 저학년은 문패 만들기 등 체험형 교육을 진행하며, 공동체 의식과 이웃 배려 문화를 조기에 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내 일처럼 여기는’ 홍보…현장에 답이 있다
광명시의 또 다른 전략은 현장 중심 홍보다. 센터 직원들이 신규 입주단지와 각종 지역 행사장을 찾아가 부스를 운영하고, 시민이 자연스럽게 층간소음을 인식하고 예방 행동으로 연결되도록 돕는다.
문패 만들기, ‘배려 다짐’ 리본 달기 등 참여형 콘텐츠를 구성해 공동주택 엘리베이터 TV를 통해 오는 11월~내년 2월까지 홍보영상 송출 예정(46개 단지)이다.
홍보 역시 단순한 캠페인이 아닌, 시민의 공감과 실천을 이끌어내는 생활 밀착형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다.
입주 늘어도 민원은 줄어…‘광명형 모델’ 확산 주목
광명시는 2023년 약 5000세대, 2024년 3800세대 등 대단지 입주가 이어졌음에도 층간소음 민원은 오히려 줄어드는 역주행 성과를 거뒀다.
이는 단기간 캠페인이 아닌, 10년 이상 이어온 장기적·통합적 갈등 관리 시스템의 결과다.
전문가 자문기구인 ‘층간소음갈등해소자문위원회’ 운영, 현장 중심 데이터 분석 기반 정책 보완, 참여형 교육 확대 등은 향후 더 많은 지자체가 참고할 수 있는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박승원 시장은 “살기 좋은 도시는 먼 곳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 집에서 이웃과 함께 어울리며 살아가는 일상에서 시작된다”며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주거문화를 통해 평화롭고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