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개 공항(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광주)의 항공기 ‘지연 일상화’로 항공기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이건태(경기 부천병) 의원이 2일 공개한 한국공항공사 자료에 따르면 항공기 지연은 △2023년 9만 3574편(23.1%) △2024년 9만 607편 (21.5%) △올해 8월 현재 5만 1624편 (18.9%)으로 집계됐다.

저가항공사(LCC)의 지연율은 상대적으로 더 심각했다. 지난해 3대(김포·김해·제주) 주요 공항 지연율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의 경우 17.25%인데 반해, 저가항공사(LCC)의 지연율은 24.44%에 달했다. 사실상 항공편 4대 중 1대꼴로 상습 지연 운항을 한 셈이다.
저가항공사 내에서도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지난해 김포공항의 경우 티웨이항공(38.67%), 진에어(34.75%), 제주항공(30.21%)이 30%가 넘는 지연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지연 사유를 원인별로 살펴보면, 항공편 '연결 지연'이 압도적인 비중(76.54%)을 차지했다.
연결 지연이란 전편 항공기 도착 지연으로 다음 연결편 항공기 출발이 지연되는 것으로, 연이은 항공기 스케줄, 공항혼잡, 정비문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항공기 운항 시스템의 슬롯·관제 수용능력, 지상조업 인력·장비, 예비기 준비 운영, 일정 간 여유 등에 검토가 필요하고 총괄적인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
이 의원은 "국내선 항공기 지연이 일상화되어, 항공기를 이용하는 국민 불편이 전혀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특히 저가항공사의 경우 지연율이 더욱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연율 개선을 위해 항공사별 정시율 공개와 항공사 평가 시 반영, 반복 지연 항공사 페널티 부과하고 정시율 우수 항공사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정시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