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기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아산시갑)이 고속도로 휴게소의 '알뜰주유소'들이 운영 주체에 따라 기름값을 달리 책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민자(民資) 주유소가 직영 주유소보다 ℓ당 100원에 가까운 가격을 더 받으며 폭리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복 의원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고속도로 주유소 운영형태별 판매가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알뜰주유소'라는 간판이 무색하게 가격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주중 기준 유류 판매 가격은 운영 주체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휘발유의 경우, 민자 주유소 가격은 1695원으로, 직영 1609원 보다 86원, 임대 1615원 보다 80원 비싸게 집계됐다.
경유 역시 민자 주유소가 1562원으로, 직영1473원 대비 89원, 임대1480원 대비 82원 높은 가격을 형성했다.
이는 고속도로 이용자들이 '알뜰주유소'라는 명칭만 믿고 주유할 경우, 리터당 상당한 금액을 더 부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차량 이용이 폭증하는 명절 기간에는 가격 차별이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영과 임대 주유소마저 평소 주중·주말보다 가격을 인상했으며, 민자 주유소는 이보다 더 높은 가격을 책정해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악용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복기왕 의원은 “민자 주유소는 고속도로 이용자가 다른 선택지를 가질 수 없는 구조를 악용해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며 “명절과 같이 차량 이용이 폭증하는 시기에는 가격 안정 장치를 마련하고, 고속도로 주유소 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대책이 필요하다 ” 고 강조했다 .
고속도로 휴게소 주유소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알뜰주유소'라는 명칭에 걸맞은 가격 안정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