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추진하는 무등산 정상부 특별 개방 행사에 '외국인 출입 제한' 조치가 내려지자, 이는 명백한 차별이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이 제기됐다.
외국인 노동자 인권 활동가인 문길주씨는 "광주시가 국적을 이유로 무등산 정상부 출입을 제한하는 것은 차별"이라며 인권위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5일 밝혔다.

문씨는 진정서에서 "지난 2023년에도 같은 문제로 진정을 제기하자 당시 광주시는 '외국인 인권 문제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며 "같은 해 9월부터는 국적과 관계없이 누구나 출입이 가능하도록 무등산을 개방키로 결정해 진정 사유가 해소된 바 있다"고 했다.
이어 "그런데도 광주시는 정상 개방 행사를 앞두고 또다시 외국인 출입을 제한하며 2년 전 약속을 뒤집고 인권 차별적 상황을 반복하고 있다"며 "외국인도 내국인과 동등하게 무등산 정상에 오를 수 있도록 인권위가 조치해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광주시는 오는 9일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와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을 기원하며 무등산 정상부 개방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날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개방되는 정상부는 군사보호구역을 통과해야 하므로 신분증 지참이 필수다. '군사보안'을 이유로 외국인의 출입은 제한된다. 등산객들은 '서석대→군부대 후문→지왕봉→부대 정문'으로 이어지는 정해진 코스로만 이동해야 하며 오후 3시 30분부터는 서석대 하산이 통제된다.
한편 지난 2023년부터 상시 개방중인 인왕봉 코스는 외국인도 등반 가능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