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지방선거에서 광주 북구는 '무주공산'의 주인을 찾는 가장 뜨거운 격전지가 될 전망이다.
재선의 문인 현 구청장이 광주시장 출마로 가닥을 잡으면서 4년 만에 '현역 프리미엄'이 사라진 선거판에, 다수의 후보가 저마다의 강점과 약점을 안고 뛰어들며 일찌감치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
12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내년 광주 북구청장 선거에는 더불어민주당에서만 최소 8명의 후보가 출마를 준비 중이다.

◇여론조사 '안갯속'…부동층 40%, 누구 손 들어줄까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지난달 24일부터 25일까지 만 18세 이상 광주 북구 유권자 5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이 14.3%로 오차범위 내 선두를 달렸다. 이어 문상필 전 광주시의원 12.0%, 김동찬 광주경총 상임부회장 11.4%, 조호권 전 광주시의회 의장이 9.2%를 차지했다. 정달성 북구의원 5.5%, 이은방 전 광주시의회 의장 5.2%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적합후보 없음'(17.3%)과 '모름'(23.6%)을 합한 부동층이 40%를 넘어, 판세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해당 결과의 조사방법은 무선 ARS 89%, 유선 ARS 11%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4%p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신수정·김동찬·문상필 선두권 '3인방' 강점 뚜렷, 리스크도 명확
현재 가장 활발히 지역을 훑고 있는 출마예정자는 신수정 광주시의장, 김동찬 광주경총 부회장, 문상필 전 시의원이다. 이들 '3인방'은 뚜렷한 강점 만큼이나 명확한 리스크도 안고 있다.
광주시의회 개원 33년 만의 첫 여성 의장이라는 상징성을 가진 신수정 의장(52)은 3선 구의원, 재선 시의원의 풍부한 의정 경험을 바탕으로 '광주 최초 여성 구청장'에 도전한다. 하지만 지난 7월 시의회 예결특위 위원장단 선출 과정에서 당론을 어기고 무소속·국민의힘 의원을 선출하는데 일조했다는 이유로 당으로부터 '당직자격정지 1개월' 징계를 받은 이력은 당내 경선에서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경제통' 이미지를 가진 김동찬 부회장(60)은 북구의회와 시의회 의장을 모두 지낸 경륜과 GGM 설립 등에 기여한 경제·행정 경험이 강점이다. 하지만 과거 시의원 임기 중 중도 사퇴하고 광주상생일자리재단 대표로 자리를 옮긴 전력과, 광주경총 상임부회장직을 맡는 과정에서 공직자윤리위의 '취업 불승인' 결정을 받았다가 이의제기를 통해 '무혐의' 처분을 받는 등 논란을 겪은 점이 부담이다.
장애인 권익운동가 출신인 문상필 전 시의원(58)은 전국 최초로 '영구임대아파트 지원조례'를 제정하는 등 성과로 18차례나 의정활동상을 수상한 정책역량이 돋보인다. 지역민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탄탄한 조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그러나 지난 총선 당내 경선 과정에서 시장에서 확성기를 이용해 지지를 호소하고 온누리상품권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최근 법원으로부터 벌금 90만원을 선고받은 '사법리스크'가 치명적인 약점으로 꼽힌다.
◇민주당 후보 난립에 따른 공천 후폭풍이 본선 판도 흔들수도
이들을 추격하는 그룹도 만만치 않다. 금융권 출신으로 시의원과 광주사회서비스원 원장 등을 역임해 실물경제와 행정 경험을 두루 갖춘 조호권 전 시의장(65), 민주당 광주시당 국장, 부위원장, 정책실장 등을 역임하며 정책기획에 강점이 있는 김대원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54), 지난 2006년부터 2018년까지 북구를 기반으로 구의원부터 시의장까지 폭넓은 정치경륜의 이은방 전 시의장(63), 한국상하수도협회 사무총장을 역임했고 도시개발·환경·복지 등 현안에 공직경험이 풍부한 송승종 전 광주시 부이사관(67), 젊은 패기의 현역 정달성 북구의원(45) 등이 저마다의 강점을 내세우며 지지세를 넓히고 있다.
야권에서는 국민의힘 소속 강백룡 전 북구 부구청장(66)이 유력 주자로 거론된다. 강 전 부구청장 30여년 공직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운 그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북구청사 일곡지구 이전과 광주도시철도 운암동 연장 등 공약으로 지역 민심을 공략한 바 있다.
지역정가 한 관계자는 "북구는 광주 5개 자치구 중 민주당 지지세가 압도적으로 높은 만큼, 당내 경선이 사실상의 본선"이라며 "후보 난립으로 공천경쟁이 과열될 경우 경선 결과에 불복한 후보의 무소속 출마 등 '공천 후폭풍'이 본선 판도를 뒤흔들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