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강릉이 겪은 초유의 물부족 사태가 전국 곳곳에 잠재된 구조적 물관리 위기를 드러냈다.
13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 김형동 의원이 기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생활·공업용수의 80% 이상을 단일 수원에 의존하는 지자체가 전국 160곳 중 34곳(2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이는 가뭄이 더 이상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국적 차원의 구조적 문제임을 보여준다”며 “국가 차원의 물관리 대전환 없이는 제2, 제3의 강릉 사태를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강릉은 올해 8월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역대 최저치인 11.5%까지 떨어지며, 20만 시민이 하루 15분 제한급수를 겪는 초유의 단수 사태를 맞았다. 이후 단비와 시민들의 절수 노력으로 저수율이 60%까지 회복됐지만, 이번 사태는 단일 수원 의존이라는 근본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실제로 강릉은 생활용수의 87%를 오봉저수지 한 곳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처럼 생활·공업용수의 수원이 다목적댐, 용수댐, 저수지 가운데 단 한 곳에 불과한 지자체는 전국 160개 중 65곳으로 파악됐다. 이 중 강릉처럼 단일 수원의 공급비율이 80%를 넘는 지역은 34곳(21%)에 달했다.
또한 강릉의 주요 수원인 오봉저수지는 2017년 이후 세 차례의 가뭄 예·경보가 발령된 바 있다. 그러나 보령, 서산, 홍성 등 전국 34곳의 지자체에서는 이보다 많은 3회 이상의 가뭄 예·경보가 발령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가뭄 위험이 강릉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된 구조적 위기임을 시사한다.
김 의원은 “강릉 사태는 기후위기 시대의 물관리 시스템이 이미 한계에 다다랐음을 알리는 경고”라며 “지자체별 분산형 물공급망 구축, 광역상수도 확충, 다원적 수원 확보 등 근본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