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역의 학생 자살과 학교폭력 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실질적 효과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열린 광주광역시의회 제337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박미정 의원(동구2) 은 "학생 생명과 정서 안전을 위한 사업이 반복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과가 없다"며 성과 중심 행정 전환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최근 5년간(2021~2025) 광주 지역 초·중·고생의 자살자가 33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는 "학생 수는 줄고 있는데, 자살 건수는 2년 전 제가 같은 문제를 제기했을 때와 달라지지 않았다"며 "상담과 치료 연계 실적만 있을 뿐, 이후의 회복률·재시도율 등 결과지표가 전혀 관리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이어 "학생 자살 대응 체계가 각 부서·기관별로 분절되어 있다"며 '학생 생명·정서 안전 통합관리체계' 구축을 광주교육청에 요구했다. 또한 "행정의 관심이 사업 실적에 머물러선 안 된다. 학생의 실제 삶과 회복을 중심에 둔 행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2.6%로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지난해(2.0%)보다 증가한 수치로, 특히 초등학생의 피해 응답률은 5.3%에 달했다.
그는 "교실 내 언어폭력과 따돌림이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며 "학교폭력 심의 건수는 늘지만 출석정지 이상의 중대조치 비율은 오히려 줄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가해 학생에 대한 실질적 교정, 피해 학생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2024년 광주지역 학교폭력 708건(광주경찰청 기준) 중 성폭력 범죄가 173건(24.4%)에 이른다는 점을 지적하며 "특히 초등학생 가해 건수가 41건으로, 초등학생 폭력범죄의 절반 이상(52.6%)이 성폭력 관련"이라며 조기 성인지 감수성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초등 저학년부터 관계의 경계와 존중, 성인지 감수성을 체계적으로 가르쳐야 한다"며 단편적인 캠페인식 교육이 아닌 생활 속 예방교육 체계 마련을 촉구했다.
박 의원은 학생 자살과 학교폭력이 서로 다른 사안으로 분리되어 관리되는 점을 비판하며,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적 외상, 학급 내 관계 단절, 자살시도와 재시도율은 서로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며 '생명·정서 안전 통합 정책 프레임' 구축을 제안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