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씨의 학술지 논문 두 편이 '위조·표절 의혹'이 제기된 지 3년 만에 학회에서 검증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상 논문은 "디지털콘텐츠의 이용만족이 재 구매 요인에 미치는 영향"(2009.2, 한국디자인포럼 Vol.22)과 "디자인‧예술 참여 유인 요소로서 광고 영상 매체와 비 영상매체가 참여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2009.2, 한국디자인포럼 Vol.22) 등 두 편이다.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실은 16일 김건희씨의 위조·표절 의혹을 실은 학술지(디자인포럼)의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이하 학회)가 지난달 19일, 연구윤리위원회 구성을 마친 후 "10월 중으로 연구윤리위원회를 개최해 규정에 따라 조치할 예정"이라고 한국연구재단에 회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문제의 두 논문은 지난 2022년 국회 교육위 국정감사에서, 2008년 11월 한국체육학회지에 발표된 "골프연습장의 이용만족과 재 구매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2008년 11월 한국사회체육학회지에 발표된 "여가 활동 참여에 있어 무용공연의 광고 영상매체와 비 영상매체가 관람객 인식에 미치는 영향"논문을 각각 위조·변조·표절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학회에 관련 연구부정 검증 민원이 제기된 바 있다.
백승아 의원은 "김건희씨 학술지 논문은 다른 사람의 연구를 베끼고 설문조사를 위조해 만든 가짜 논문으로, 해당 논문의 학술적 가치는 전혀 없는 위조 논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 3년 간 학회 연구윤리위원회 미구성으로 연구부정을 검증조차 할 수 없었던 현실에 대해 "김건희씨로 인해 우리나라 학계의 학문적 기준과 검증 시스템의 민낯이 드러난 셈"이라고 평가하면서 "지금이라도 학회가 양심과 사명을 갖고, 연구윤리위원회 구성을 완료한 점을 환영하며, 앞으로 절차에 맞게 검증하고 그 결과를 국민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금까지 확인된 한국디자인포럼에 게재된 김건희씨 학술논문은 총 4편으로, 2007년 발표된 두 편의 논문에 대해 2021년 국민대가 먼저 '검증불가 및 연구부정 아님'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당시 학회에도 동일한 논문에 대한 연구부정 검증 민원이 제기됐으나, 학회는 국민대의 부실검증 결과를 그대로 인용해 학술지로서의 양심을 버리고 김건희씨 표절논문에 면죄부를 주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