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민이 느끼는 ‘생활 속 안전’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이연주)는 16일, 도민 34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전북 자치경찰 도민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도민의 종합 체감 안전도는 78.6점으로 전년(71.9점)보다 6.7점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24일부터 9월 5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생활안전·사회적 약자 보호·교통안전 등 27개 문항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특히 생활안전(79.6점), 사회적 약자 보호(76.6점), 교통안전(76.4점) 등 모든 분야에서 점수가 상승해 자치경찰제 시행 이후 추진 중인 생활밀착형 치안정책의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도민들은 생활안전 부문에서 ‘유흥·번화가 주변 범죄’(34.0%)를 가장 우려했고, 사회적 약자 보호 분야에서는 학교폭력(29.1%)과 아동학대를 주요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교통안전 분야에서는 음주운전(21.9%)을 가장 큰 위협으로 인식했다. 또한 최근 사회문제로 떠오른 청소년 도박과 디지털 성범죄 예방의 필요성도 강하게 제기됐다.
가장 시급한 치안 개선 과제로는 CCTV 등 방범 인프라 확충(74%)과 순찰 강화가 꼽혔으며, 가해자 재범 방지 시스템 구축, 학교전담경찰관(SPO) 전문교육 확대,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예방교육 병행 등 구체적인 요구도 제시됐다.
고령 운전자 안전을 위해서는 인지능력검사 활성화와 보행자 대상 맞춤형 교육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위원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흥가 범죄 예방 환경설계(CPTED) 강화, 심야 취약지역 순찰 확대 등 생활밀착형 치안활동을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학교폭력 재범관리 강화, 디지털 성범죄·스토킹·교제폭력 등 관계성 범죄 전담수사체계 구축, 피해자 보호 연계시스템 고도화도 추진한다.
고령자 교통안전을 위해서는 관계기관과 협력해 인지능력검사 프로그램 확대와 어르신 교통안전 교육 정례화를 병행할 방침이다.
이연주 위원장은 “도민의 안전 요구 수준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며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신뢰받는 자치경찰제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