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 상삼리산성이 백제 후기, 사비시대에 축조된 만경강 유역의 핵심 거점 성곽으로 확인됐다.
완주군은 17일 “상삼리산성 유적에 대한 학술 발굴조사 결과, 성곽의 축조 방식과 출토 유물 등을 통해 백제 후기의 지역 지배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상삼리산성은 둘레 약 986m 규모의 백제 성곽으로, 지난 1960년대 조사 이후 훼손이 심화돼 체계적 연구가 이뤄지지 못했던 유적이다. 이에 완주군은 국가유산청의 전액 국비 지원을 받아 9월부터 추정 남문지와 남성벽 구간을 중심으로 긴급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남성벽은 너비 약 10m, 최대 높이 3.75m의 토석혼축(土石混築) 구조로 확인됐다. 성벽 내부 상층부에는 빗물 침투를 막기 위해 점토 덩어리와 함께 백제 기와를 촘촘히 깔아 쌓은 흔적이 드러났다.

학계에서는 이러한 축조 방식이 사비기 백제 성곽의 특징으로, 당시 토목기술 수준과 방어체계의 정교함을 보여주는 자료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성벽 안쪽 평탄지 시굴조사에서는 집수시설로 추정되는 점토층과 주거지·건물지 흔적이 확인됐으며, 다량의 기와와 토기류가 함께 출토됐다. 이를 통해 상삼리산성은 단순한 방어 거점이 아닌, 행정·생활 기능을 겸한 거점 성곽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조사로 상삼리산성이 상운리고분군·운교유적 등 인근 마한~백제 유적군과 함께 백제의 만경강 진출과 지배체제 변화를 밝히는 핵심 근거로 주목받고 있다.

완주군은 이번 성과를 토대로 향후 정비·보존 계획을 수립해 역사문화자원으로의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번 발굴로 상삼리산성의 축성 시기와 구조를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며 “유적의 역사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해 완주의 대표 문화유산으로 키워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완주군은 이번 발굴 현장과 주요 성과를 담은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