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간 암 진단 이후 1년 이내 사망률을 건강보험 소득수준별로 비교해 보니, 의료급여 대상자의 사망률이 직장가입자 최상위 소득계층보다 약 1.8배, 지역가입자 최상위 계층보다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소병훈 의원이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의료급여·건강보험 소득수준에 따른 암 발생 및 사망 비교 분석(2014~2023)' 자료를 보면, 의료급여 수급자의 경우 암 진단 이후 1년 이내 표준화 사망률은 26.0%로 모든 지역·직장가입자 소득수준별 소집단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경우 최상위 소득계층은 14.4%, 상층 16.0%, 중층 16.7%, 하층 17.2%, 최하층 17.3%였고, 지역가입자는 최상층이 12.8%, 상층 16.1%, 중층 18.4%, 하층 21.1%, 최하층 23.6%였다.
의료급여층은 암 발생률 역시 인구 10만명당 472.6명으로 가장 높았고, 반면 국가암검진 수검률은 38.9%로 가장 낮았다.
소 의원은 "의료급여 및 건강보험 가입자 저소득 계층일수록 암 조기검진 접근성이 낮고 진단 초기 사망률이 높게 나타난다"며 "암환자 생존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저소득 계층의 국가암검진 참여 확대와 조기발견율 제고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각 기관별로 분산된 암 통계를 통합해 정확한 계층별 분석이 가능한 ‘암 통계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급여층·저소득층 맞춤형 암 예방·조기진단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