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청 신청사 설계안을 둘러싸고 달서구청의 잇단 공개 비판이 이어지면서 지역 내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대구시는 “절차상 문제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태훈 달서구청장의 기자회견과 연이은 성명 발표가 정치적 의도를 띠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구시는 지난달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신청사 기본안을 확정했다. 대구의 새로운 행정 랜드마크로 추진 중인 이번 사업은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달서구청은 “도시 정체성을 담지 못했다”며 설계안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13일과 16일 잇따라 입장문을 발표하며 “절차적 정당성보다 결과물의 완성도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부산시청과 유사한 외형으로는 대구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국제공모를 거친 절차적 정당성은 이미 확보됐다”며 “시민 의견 수렴과 전문가 자문을 충분히 반영했다”고 반박했다.
대구시는 “현재는 기본 및 실시설계 초기 단계로, 일부 보완은 가능하지만 사업 지연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안중곤 대구시 행정국장은 2일 <BBS> ‘라디오 아침세상’을 통해 “관련 법령과 절차에 따라서 공정하고 투명하게 심사해서 당선작이 선정된 것”이라며, “공식 절차를 거쳐 확정된 결과를 뒤집고 다시 공모를 실시한다는 것은 행정 절차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년 10월에 행정안전부 2단계 중앙투자 심사를 통과해야만 본격적으로 착공이 가능하다”며, “일정이 지연되거나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면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가서 최소 3년 정도 더 시간이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달서구의 행보가 지나치게 공세적이라는 시각이 나온다.
대구경실련은 “시청사 건립을 행정 갈등으로 몰아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시민 공감대보다 정치적 효과를 노린 행보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대구시는 현재 설계안 세부 조정 작업을 진행 중이며, 오는 연말까지 기본설계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행정 신뢰를 지키기 위해 예정된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배광식 대구 북구청장도 앞선 5월 대구시 신청사 설계 공모를 두고, “내년 지선(地選)을 통해 대구의 내일에 대한 시민의 생각이 담긴 신청사를 지어야 한다”며 사업 중단을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