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국제공항을 둘러싼 법정 공방을 앞두고 전북 지역 시민사회가 일제히 목소리를 냈다.
전북 209개 사회단체가 “새만금공항은 전북의 염원을 넘어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이라며 법원의 집행정지 기각을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21일 (사)새만금사업범도민지원위원회를 비롯한 209개 사회단체는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새만금국제공항은 국가 성장 동력 확보와 미래 전략산업 기반 마련, 일자리 창출 등 국민 생활 전반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사업”이라며 “이번 판결이 개발의 발목을 잡는 결정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단체들은 공동성명에서 “서울행정법원 1심 판결은 절차적·기술적 보완을 요구한 것이지, 사업의 필요성을 부정한 것이 아니다”라며 “환경과 안전성 우려는 충분한 과학적 검증과 기술적 보완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항 건설 중단 우려만으로도 글로벌 투자, 국제행사 유치, 신산업 육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이는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산업정책과 균형발전 전략의 신뢰와 직결된 사안”이라고 밝혔다.
또한 “새만금국제공항 건설이 흔들릴 경우 새만금 개발 전체가 좌초될 수 있다”며 “법원의 합리적 판단을 통해 새만금사업이 국가의 미래 성장 기반으로 완성되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이날 단체들은 △새만금 사업의 조기 개발 △과학적 검증과 신속한 보완을 통한 안전한 공항 건설 △판결을 이유로 한 예산 축소나 개발 지연 방지 등을 3대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새만금사업범도민지원위원회 관계자는 “법원 결정 하나가 지역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며 “도민의 간절한 염원을 외면하지 말고, 균형발전의 대의를 지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단체가 제기한 새만금국제공항 집행정지 신청에 대한 첫 심문은 22일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다.
총사업비 약 8000억 원 규모로 추진되는 새만금국제공항은 2029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판결이 향후 사업 추진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