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지도의 표준을 제정하는 국제수로기구(IHO)의 인프라센터가 부산에 설립된다. IHO가 사무국 외에 별도 조직을 설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1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16일 모나코에서 열린 IHO 이사회에서 부산이 인프라센터 설립지로 잠정 결정됐다. IHO는 선박 안전을 위한 해양지도와 해양조사 등에 관한 표준을 제정하고 운영하는 국제기구다.
IHO 인프라센터는 3차원 해저 지형과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조석, 해양 기상 등 다양한 해양 정보의 국제표준(S-100)을 개발 및 관리한다. S-100에 기반한 전자 해도 상용화에 필요한 연구와 운용 테스트 등의 업무도 지원한다. 국제해사기구(IMO)가 2029년부터 전자 해도 탑재를 의무화하면서 인프라센터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유치전에는 부산과 인천이 뛰어들었지만 상대적으로 해양산업 규모가 큰 부산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는 해양 관련 연구기관의 집적 효과와 외국인 정주여건, 교통 인프라 등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BIFC 3단계를 후보지로 제안하는 한편 국민연금공단 부산지역본부를 대체안으로 준비하는 등 현장실사에도 대응했다.
IHO는 내년 4월 개최하는 총회에서 승인을 거쳐 5월에는 해양수산부, 부산시와 협약을 체결한다. 센터 사무실은 시비 67억원을 들여 BIFC 3단계 건물에 들어선다. 초기 상주 인원은 10명 내외로 절반 이상이 외국인 전문가로 구성될 전망이다. 운영비는 매년 국비 25억원과 시비 2억원이 투입된다.
부산시가 해양수산부 이전에 이어 국제해양기구 유치에 성공하며 부산의 해양산업 경쟁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유치는 부산이 해양산업 발전과 '해양수도 부산'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노력의 결과"라며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이자 세계 해양정보 중심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