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과 관련해 다양한 문제제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IOC가 여러 도시가 협력하는 방식의 개최를 권장했다'는 발언의 출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앞서 정종복 전북도의원이 20일 열린 임시회 5분자유발언에서 '필요하다면 방향수정도 결단해야 한다'는 요구에 이은 것이어서 이같은 정책질의와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박용근 전북특별자치도의원(장수)은 제42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긴급현안질문을 통해 2036 전주하계올림픽을 둘러싼 유치 추진의 현실성과 절차적 타당성 검증을 벌였다.
박 의원은 "전주가 국내 유치 후보 도시로 선정되긴 했지만 이같은 대규모 재정 사업을 추진하면서 도의회와 사전 소통이나 협의가 없었다"면서 "2036전주하계올림픽 개최가 김관영 지사의 발상이었는지, 아니면 주변인의 기획이었는지"를 물었다.
이어 "윤준병 국회의원은 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전국 10개 지자체 연대를 구성해 하계 올림픽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은 이미 IOC로부터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고 언급했다"면서 "IOC가 여러 도시가 협력하는 방식의 개최를 권장하고 있다"는 발언의 출처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또한 박 의원은 "올림픽 개최지 요건 가운데 IOC가 제시하는 압축적인 경기장 배치, 선수촌으로부터 1시간 또는 50㎞이내 등의 조건 들을 어떻게 충족시킬지에 대한 답변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현재 전주, 군산, 익산, 완주의 숙박시설을 모두 합쳐도 896개소에 총 9276실을 보유하고 있어 IOC가 요구하는 8만실의 숙박시설을 충족시키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제시했다.
박 의원은 "전북도가 과거 올림픽의 사례를 들어 국비 95% 대 지방비 5%를 기대하는 것은 희망사항에 불과하다"면서 "이 규정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전북도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물으면서 "IOC의 비공개 요구, 전략상 보안이라는 이유 등을 제시하며 밀실행정을 펼칠 게 아니라 모든 것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의원은 "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이벤트가 아니라 국가적 프로젝트인 만큼 현실성 있는 준비와 명확한 근거, 투명한 절차가 필요하다"면서 "전북자치도는 올림픽 유치를 둘러싼 현실과 한계를 숨기지 말고 도민과 함께 대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