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임실군이 농촌 지역 고령층과 교통취약계층의 생활 불편을 덜기 위해 '내 집 앞 이동장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임실군은 지난 20일 이동장터 차량 제막식을 열고, 농촌 주민을 직접 찾아가는 이동장터 사업의 본격적인 운영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다.
이동장터 사업은 농촌 지역의 소매점 감소로 식료품과 생필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주민들을 지원하고, 이른바 '식품 사막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사업이다.
지난 3월 농림축산식품부의 '가가호호 이동장터 사업' 공모에 선정되며 추진이 확정됐다.
임실군은 2021년부터 추진 중인 임실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비를 활용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동장터 차량 구입과 구조 변경을 완료했다.
이번 제막식에는 심민 임실군수를 비롯해 임실시니어클럽 관계자, 임실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주민위원, 군의회 의원 등이 참석해 업무협약 체결과 차량 관람 등을 진행했다.
사업 수행기관으로는 임실시니어클럽이 참여한다.
군과 시니어클럽은 사업 기획 단계부터 협력 체계를 구축해 안정적인 운영과 지속가능성 확보에 주력해 왔다.
또한 타 지역의 우수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주민 부담을 줄이기 위해 관내 대형마트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내실 있는 운영을 준비했다.
임실시니어클럽은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임실읍 이도리·성가리·두곡리를 제외한 41개 마을을 대상으로 올해 두 달간 시범운영을 실시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 2026년부터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임실군은 고령 인구 비율이 4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지역 특성을 반영해, 이동장터 서비스를 11개 면 교통취약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 6월 '2026년 전북형 이동장터 시범사업'에도 선정돼 서비스 기반이 한층 강화됐다.
한편 군은 농촌 사각지대 해소와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난 8월 '임실군 식품 사막화 해소 및 지원 조례'를 제정·시행하며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심 민 임실군수는 "찾아가는 임실 이동장터 사업이 조기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수행기관인 임실시니어클럽 관계자들의 노력을 당부드린다"며 "수익성보다는 공익성을 우선시할 수 있는 시니어클럽의 강점을 살려 타 지역에서 볼 수 없었던 성공적인 모델로 구축될 수 있도록 이동장터 사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