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정읍시, 조선왕조실록 수호한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식·제막식 거행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정읍시, 조선왕조실록 수호한 안의·손홍록 선생 영정 봉안식·제막식 거행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모임' 회원과 안의(安毅)·손홍록(孫洪祿) 선생의 흉상 ⓒ정읍시

전북 정읍시가 임진왜란의 전란 속에서도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두 지역 인물, 안의(安毅)·손홍록(孫洪祿) 선생의 숭고한 뜻을 기린다.

정읍시는 오는 26일 오전 11시 칠보면 행복이음센터와 시립박물관에서 영정 봉안식과 흉상 제막식을 열어 두 선생의 헌신을 되새긴다고 23일 밝혔다.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호)은 태조에서 철종까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기록한 방대한 사서로, 총 1893권 888책에 달한다.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이 실록은 임진왜란 당시 한양 춘추관과 충주·성주 사고본이 모두 소실됐지만, 전주사고본만은 살아남았다.

이 귀중한 기록을 지켜낸 주인공이 바로 정읍 출신의 두 유생이었다.

당시 전주사고가 불타기 직전, 안의·손홍록 선생은 실록과 고려사, 태조 어진 등을 궤짝에 담아 전주에서 출발했다.

험준한 산길을 넘어 7일간의 행군 끝에 내장산 용굴암에 도착했고, 이곳에서 370여 일간 불침번을 서며 실록을 지켰다.

이들의 활동은 현재 전북유형문화재 제245호로 지정된 수직상체일기에 상세히 기록돼 있다.

정읍시는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는 두 선생의 신념을 계승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2023년 발족한 '안의·손홍록 선생 선양모임'이 주최하고 정읍시가 후원한다.

영정은 화가 소미정 씨가, 흉상은 조각가 김소영 씨가 제작했다.

행사에는 정세균 전 국무총리, 윤준병 국회의원, 이학수 정읍시장, 곽영길 전북도민회 중앙회장 등 주요 인사가 참석해 두 선생의 위업을 기릴 예정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송부성

전북취재본부 송부성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