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는 23일 "2036 전주하계올림픽 계획의 완성도와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용역기관인 한국스포츠과학원(KISS)과 협의해 사전타당성(사타) 조사 용역기간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올 3월말에 시작해 9월말인 6개월 동안 진행될 예정인 관련 용역은 올 12월까지 3개월 늘어나게 됐다.
'사타 조사'는 사업 착수 전에 기본 구상과 추진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며 '예비타당성(예타) 조사'가 사업의 본격 추진 전에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성 등을 종합 검토하는 것이란 점에서 차이가 있다.
쉽게 말하면 '사타'는 기획 단계의 사전 검토 절차이고 '예타'는 국가재정법상 법적 필수 절차이다.
앞서 서울특별시도 지난해 5월에 관련 용역을 발주한 것으로 확인되며 두 지역 '사타 조사' 용역의 닮은 꼴과 다른 점이 세간에 소환됐다.
서울시의 용역은 전북과 마찬가지로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였고 조사 기간도 전북과 같은 6개월로 작년 5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됐다.
두 곳의 용역수행기관도 '한국스포츠과학원(KISS)'으로 같았다.
같은 기관(KISS)이 같은 시간(6개월)에 같은 용역(사타 조사)을 진행한다는 점 외에 전북은 기간을 3개월 늘리기로 한 것이 다르다면 다른 점이다.
전북도는 이와 관련해 "하계올림픽 전체 재정규모 수정, 유치전략 보강 등으로 올림픽 유치계획서의 완성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해 관심을 끌었다.
닮은 꼴이 적잖은 서울시 용역은 향후 전북도 '사타 조사' 완성도 제고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서울시는 용역을 통해 유치비용 대비 기대편익을 산출해 유치 제안의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비용산정(시설비용·운영비용) △편익산정(시장편익 + 비시장편익) △시민 여론조사(유치 찬성 여부) △경기장 및 인프라 기존 자산 활용계획(신축 최소화) 등이 용역에 포함됐다.
그 결과 현재가치(PV)로 환산한 비용은 비용 약 3조358억원인 반면에 편익은 약 3조1284억원으로 집계돼 비용 대비 편익(BC) 비율은 1.03이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비용편익' 분석에서 1 이상 나오면 경제성이 있다는 말이어서 '2036 서울올림픽' 유치의 타당성을 뒷받침해준 수치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서울올림픽 유치에 나설 경우 기존 경기장을 리모델링하고 임시 시설을 설치하는 등 '시설비용'은 약 1조5428억원(30.3%)인 반면에 경기운영·숙박·문화행사·홍보 등 '운용비용'은 약 3조5405억원(69.7%)으로 추산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의 '2036 하계올림픽' 유치 계획에서 시설비용이 운용비용보다 훨씬 작아 경제성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서울시의 유치전략과 특징으로는 "신축 경기장을 최소화하고 1988년 하계올림픽 유산과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이 손꼽혔다.
예를 들어 잠실 주경기장 리모델링, 기존 올림픽공원 내 경기장 재활용, 한강 및 광화문 등 주요 명소에 임시 시설 설치 등이 강점이라는 말이다.
또 서울시 계획안은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고 신축을 최소화해 비용통제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바람직한 모델로 보이지만 비용효과(BC) 분석이 1.03이어서 비용 위험과 지연 위험의 관리 필요 지적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사타 조사'까지 마무리했지만 올 2월 말 국내 후보지 선정 투표에서 유효득표(61표) 중 11표를 확보해 전북(49표)에 고배를 마시는 등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는 교훈을 남겨주기도 했다.
지역개발 전문가들은 "서울시 계획의 사타 조사에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음에도 비용증가와 편익 감소·절차적 경쟁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한다는 분석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전주올림픽 유치를 위해 △세부사업계획 △재정확보 △리스크 관리 △유산 활용방안 등이 보다 구체화될 수 있도록 사타 조사 용역을 보강해야 성공적 유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주장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