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능력과 책임감이 없는 발언이다."
지난 22일 국정감사장에서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을 향한 김영호 교육위원장의 질타에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가 "'공감 제로' 교육감은 광주 교육 수장의 자격이 없다"며 맹공을 퍼부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24일 성명을 내고 국정감사에서 드러난 이 교육감의 책임 회피와 의혹에 찬 태도를 조목조목 비판하며 "스스로 진실을 밝히고 교육 가족 앞에 석고대죄하라"고 촉구했다.
단체는 먼저 '고교 동창 감사관 채용 비리' 의혹에 대한 이 교육감의 태도를 문제 삼았다. 이들은 "실무자가 이미 실형을 선고받았음에도 교육감은 '사건 내용을 확인해보고 싶다'는 유체이탈 화법으로 일관했다"며 "마치 자신과 무관한 남의 일처럼 치부하는 모습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사퇴할지에 대한 질문에 "법적 책임을 지겠다"고 답한 것을 두고 "진실 규명을 피하기 위해 대법원까지 재판을 끌고 갈 심산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국감에서 지적된 '성비위 교직원의 직위 유지 및 피해자-가해자 미분리' 문제에 대해서도 "제도의 미비만 탓하며 책임을 회피했다"며 "교육 현장의 고통에 대한 공감 능력이 결여된 리더십"이라고 질타했다.
또한 학생 건강과 직결된 학교 석면 해체 공사를 "지역 업체가 한정적"이라는 이유로 미룬 것에 대해서는 "학생 안전보다 특정 업체를 싸고도는 '업체 봐주기' 의혹이 짙다"며 "업체와의 부적절한 유착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닌지 분명한 답변을 요구한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전교조는 광주시교육청이 청렴도 평가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근본 원인으로 '솜방망이 처벌'을 지목했다. 이들은 "'리박스쿨'의 역사 왜곡 영상을 게시하고 교사 채용 시 사상을 검증한 특정 종교 대안학교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에 그친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이는 교육청 내부의 특정 성향에 대한 온정주의나 유착 의혹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전교조 광주지부는 "이 교육감이 현재의 무책임한 태도를 고수한다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광주 교육 정상화를 위해 투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