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이 구축한 비대면 실명인증 시스템이 사실상 유명무실 상태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안 강화조차 시중은행보다 늦어 보안 의지 부족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24일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실(부산 사하.을)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금융사기범이 피해자 명의로 알뜰폰을 개통하고 농협 모바일뱅킹 'NH콕뱅크'를 통해 5200만원을 편취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농협 콕뱅크의 비대면 실명인증 시스템은 사실상 유명무실했다. 신분증의 주소와 발급기관을 손으로 고쳐 쓴 위조 신분증으로도 본인 인증이 완료됐으며 모니터 화면 속 신분증을 촬영한 사진도 인증이 통과된 것이다.
이러한 보안사고를 우려해 하나은행과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은 이미 2년여 전부터 안면인식 시스템을 추가로 도입해 보안을 강화했다. 그러나 농협은 관련 피해가 발생하고 언론 보도가 이어진 올해 8월에야 시스템을 도입한 것으로 밝혀졌다.
조경태 의원은 "손으로 쓴 가짜 신분증에 5천만원이 넘는 국민 자산이 뚫린 것은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명백한 보안 의지 부족"이라며 "농어민과 서민들이 믿고 맡긴 금융기관이 최소한의 안전장치도 소홀히 한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농협의 땜질식 처방이 아닌 근본적인 보안시스템 전면 재구축과 적극적인 기술 투자를 강력히 촉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