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주도하고 있는 지방 도시 간의 연대, 대한민국 여러 도시들이 함께하는 방식이 IOC가 추구하는 방향과 상당히 높은 일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25일 JTBC 인터뷰에서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계획에 대해 “새로운 경기장을 짓지 않고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가장 비용 절감적인 올림픽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는 IOC가 요구하는 지속가능한 개최 모델과 부합한다”고 밝혔다.
‘인도·카타르·독일 등 대도시들과의 경쟁 속에서 전북의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김 지사는 “올림픽 유치는 한 도시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경쟁력이 시험받는 계기”라며 “전 세계 13개 나라가 경쟁 중이지만, 우리는 지방과 도시 간의 협력 구조를 통해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올림픽 개최지 결정 시기와 관련해서는 “당초 2026년으로 예상됐지만, IOC가 개최 도시 선정 방식을 연말까지 조정해 발표하기로 하면서 결정 시점이 2027년 말에서 2029년 말 사이로 늦춰졌다”고 설명했다.
‘한 도시 중심 모델이 아닌 분산 개최의 현실성’에 대한 질문에도 김 지사는 분명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육상은 대구, 양궁은 광주, 체조는 충북, 테니스는 충남 등 분산 개최를 계획하고 있다”며 “IOC 역시 한 도시 중심의 개최에서 다도시 협력형으로 정책 방향을 바꾸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너무 많은 분산은 경기 운영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니, 컴팩트함을 유지하면서 경기장 신설 없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목표”라고 덧붙였다.
서울과의 협력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주로 결정된 이후에도 일부 종목은 기존 경기장을 가진 서울과 연대해 운영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며 “새 경기장을 짓지 않더라도 IOC의 기준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또 “문체부와 기재부 승인 절차를 마치는 대로 IOC에 유치 신청서를 공식 제출할 계획”이라며 “국내 승인 과정에서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북도가 내세운 ‘현실형 올림픽’ 구상은 명분 면에서 국제 흐름과 맞닿아 있지만, 실제 추진력은 여전히 검증대 위에 있다. 사전 타당성조사가 연말까지 연장되면서, 재정 추계와 인프라 구체화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한 올림픽’이라는 목표가 현실이 되려면, 중앙정부의 협력과 구체적인 재정 계획이 함께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