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야구위원회(KBO)가 올해 한국시리즈 개막전에 박근혜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었던 김기춘 전 실장을 VIP로 초청한 것으로 드러나 국정감사장에서 비판이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은 27일 대한체육회·국민체육진흥공단 등 대상 국정감사장에서 강수상 문화체육관광부 체육국장을 답변대로 불러내, 김 전 실장이 전날 한국시리즈 1차전을 초청 관람한 사실에 대해 따졌다.
박 의원은 "(사실관계를 파악해 보니) KBO 총재가 VIP로 초청을 했다"면서, 역대 KBO총재를 초청하는 관례에 따른 것이기는 하지만 "김기춘 전 실장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으로 징역 2년을 확정받은 바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공정사회, 형평성 등 가치를 생각할 때 이 문제가 작다고 할 수 없다"며 "이장석 모 전직 구단 대표는 횡령 혐의로 징역 3년 6개월이 확정된 뒤 (KBO로부터) 영구실격 처분을 받았고, 2022년 플레이오프를 개인 자격으로 관람했을 때도 KBO는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고 한 바 있다"고 했다.
박 의원은 "(그랬던) KBO가 왜 3년이 지난 지금 김 전 실장에 대해서는 '우려스럽다'는 인식 없이 이렇게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야구선수들은 잘못을 저지르면 영구실격되고 이장석 전 사장도 실형 선고로 영구실격을 받았다. 문체부가 지도감독 권한을 갖고 있는데, KBO가 잘했다고 생각하나"고 추궁했다.
박 의원은 김 전 실장에 대해서도 "국가와 국민에 끼친 해악을 생각하지 못하고 전직 KBO 총재였음만 기억하고 뻔뻔하게 관람을 한 것"이라고 바난하며 "KBO가 국민과 야구팬에 공식 사과해야 한다. 초청의 판단 오류에 대해 분명히 인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나아가 "사실관계를 전면 공개해야 한다. 누가 어떤 절차로 초청을 결정했는지 투명히 밝혀야 한다"면서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블랙리스트, 학폭 등 사회적 유책자에 대해서는 초청을 금지하는 등의 프로토콜을 확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 국장은 'KBO의 초청이 적절했는지' 부분에 대해서는 "국민 감정과 여론 충분히 고려했어야 한다"고 비판적 태도를 시사하며, 사실관계 파악과 재발 방지 조치 등에 대해선 "KBO에 박 의원의 의견을 전달해 공식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체육계의 고질적 병폐인 폭력 등 인권침해 문제에 대한 지적도 이어졌다. 박 의원은 "체육계 인권침해 및 비리 사건과 관련해 스포츠윤리센터가 징계를 요청한 사건 중 72건이 처리기한을 넘겨 아직 종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피해자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스포츠윤리센터는 2020년 설립 이후 총 506건의 징계를 관련 기관에 요청했으나, 이 중 기한이 아직 도래하지 않은 40건을 제외하면 72건이 여전히 종결되지 않은 상태"라며 "가장 오래된 미종결 사건은 2022년에 접수된 건으로, 무려 3년이 지나도록 처리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징계 요청 사건에는 감독의 선수 폭행, 금품 수수, 성폭력 등 중대한 사안이 다수 포함돼 있고, 특히 학교에서 발생한 미성년자 폭력 사건은 피해 학생의 심리적·신체적 고통과 후유증이 성인기까지 이어질 수 있어 한 선수의 인생에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남길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문체부와 대한체육회에 대해 "사건이 기한 내 종결될 수 있도록 관리·점검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향후 제 식구 감싸기나 징계 무시 사례가 발생할 경우 재정지원 제한 등 강력한 조치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민의힘 정연욱 의원도 "폭력은 훈육이 아니라 어린 선수의 인생을 무너뜨리는 범죄"라며 체육회의 엄정 대응을 촉구했다. 정 의원은 "스포츠윤리센터에 접수된 전체 신고 가운데 신고유형 1위는 '폭력'으로 비율이 17.2%(에 달한다)"라며 "단순한 개인 일탈이 아니라 폭력을 용인하는 문화가 여전히 구조 안에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특히 학교 운동부의 사례를 들며 "최근 5년 동안 학교 운동부 인권침해는 588건으로, 이 가운데 징계 요청은 156건, 실제 제명은 13건뿐"이라며 "징계 요청에 회신조차 하지 않은 학교도 48곳이고 일부 학교는 '윤리센터는 문체부 산하 기관이라 교육부 소속인 학교는 응할 의무가 없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체육)지도자는 결국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사람들인데, 왜 체육회는 '학교 소관'이라며 손을 떼느냐"며 "체육회가 더 이상 책임을 피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