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가 2030년까지 2조8000억원 규모의 신항 확장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하역 효율성은 오히려 과거보다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실(부산 사하.을)에 따르면 부산항의 컨테이너 하역 효율성은 2022년 75.5에서 2024년 74.9로 2022년 대비 하락했다. 조 의원은 "생산성 정체의 핵심 원인은 터미널 운영사 난립과 통합 지연, 하드웨어 중심의 항만 행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으로 국가경제를 지탱하고 있지만 중국 상하이·닝보항이 맹렬히 추격 중"이라며 "지금처럼 양적 확장에만 집중한다면 글로벌 경쟁에서 밀릴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부산항이 진정한 동북아 물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선 가덕도 신공항과 연계한 해상-항공(Sea & Air) 복합 물류 전략이 필수"라며 "2035년 신공항 개항에 맞춰 항공·항만 환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AI 기반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2.8조 원의 막대한 세금이 투입되는 만큼 부산항만공사는 '규모의 확장'보다 '운영의 혁신'을 우선해야 한다"며 "지금의 정체된 생산성 수치가 5년 뒤에도 그대로라면 분명한 정책 실패"라고 경고했다.
조 의원은 1000억원을 넘는 영업이익을 거두면서도 형식적인 지원에 그치는 부산항만공사의 사회공헌사업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지난해 부산항만공사의 영업이익은 1285억원으로 4대 항만공사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사회공헌사업 예산은 7억1000만원으로 영업이익 대비 0.6%에 그쳤다.
조경태 의원은 "부산항만공사가 물류, 항만 개발 중심의 역할에만 머물러 단순히 돈을 벌어들이는 영리 기업처럼 되어버렸다"며 "실질적으로 피해를 받는 주민들을 위한 혜택이 전무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시드니, 요코하마와 같은 세계적인 미항처럼 부산도 진정한 해양도시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