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그녀>가 가능? 챗GPT, 성적대화·딥페이크 허용에 '이녀석'에 빠져드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그녀>가 가능? 챗GPT, 성적대화·딥페이크 허용에 '이녀석'에 빠져드나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 "내가 듣기 싫은 소리하는 사람과 대화할까"

챗GPT를 서비스하는 오픈 AI 사에서 성인 이용자를 상대로 성적 대화와 딥페이크 수준의 영상 생성 등 성인용 콘텐츠를 허용하겠다고 한 것을 두고 IT 전문가인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은 "돈 벌고 비즈니스 하겠다는 방향성에 대한 선포"라고 분석했다.

김덕진 소장은 28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원래 오픈 AI를 만든 샘 올트먼이 기본적으로 비즈니스맨이기에 어떻게 하면 돈을 버는지를 잘 알고 있는 사람"이라며 이 같이 설명했다.

김 소장은 "때문에 후발주자들이 계속 성인용 버전을 풀면서 치고 올라오고 있는 상황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회원 수를 가지고 있는 오픈 AI가 '우리도 못 할 거 없어. 우린 대신에 성인용에 대한 인증만 강하게 할 거니까 그렇게 해서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게 해 줄게'라는 건 하나의 수순이었다"라고 분석했다.

김 소장은 성인인증 관련 "기술적으로 지금 오픈AI에서 얘기하는 것은 일단은 '우리가 번호 인증 비슷하게 완전한 개인 인증을 넣을 것이다. 카드 인증이나 이런 걸 넣을 것이다'가 하나 있었고 두 번째는 대화의 패턴을 기반으로 해서 지금 대화하는 사람이 미성년자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했다"며 "만약에 이 사람이 미성년자라고 판단이 됐을 때는 대화의 수위를 낮춘다거나 아니면 뭔가 극단적인 얘기를 하면 그 부분에 있어서 통지하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 소장은 이러한 흐름을 두고 "두 가지로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비즈니스적으로 지금 모든 AI 회사들이 너무나도 많은 투자를 받았는데 계속 돈을 까먹고 있기에 돈을 벌어야 되는 상황"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런 성인용 모드에 대한 변화들은 계속적으로 생길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두 번째로는)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실제로 이러한 서비스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정책과 규제가 빠르게 움직여야 되는 부분이 있다"며 "그리고 이것보다 더 중요한 건 이걸 받아들이는 우리들이 바뀔 것 같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성인용이냐 야하냐 위험하냐가 아니라 이렇게 욕설도 섞고 야한 대화도 하는 AI랑 우리가 너무 일상적으로 대화를 하기 시작하면 과연 우리는 사람하고 대화하는 게 편할까, 아니면 AI랑 대화하는 게 편할까라는 걸 잘 생각을 해 봐야 된다"라며 "이 성인용 모드가 성인용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최근에 AI 회사들이 여기다 여러 가지 서비스를 붙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이미 오픈 AI가 쇼핑이나 아니면 인터넷 검색이나 내용들을 챗GPT 안에서 다 하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예전에는 AI한테 일상적인 대화로 쇼핑을 했는데 욕도 하고 야한 얘기도 하는 내 애인 같거나 내 친구 같은 애들이 물건 사라고 얘기하는 것"이라며 "그렇게 얘기하기 시작하면 과연 우리는 사람하고 대화하는 게 편할까 아니면 이들이 만들어 놓은 정말 사람 같은 AI랑 계속적으로 대화를 하면서 콘텐츠도 소비하고 돈도 쓰면서, 이 안에 '락인'이 될까라는 것을 더 큰 관점에서 생각을 해 봐야 된다"라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나를 더 오랫동안 기억하고 나의 맥락도 알고 대화도 나에게 맞춤형으로 해 주면서 쇼핑도 하고 뭐도 하는 애랑 계속 대화를 하면 과연 사람들은 나에게 싫은 소리 안 하고 내가 얘기하는 거 다 받아주면서 나에게 맞춤으로 대화하는 이 녀석에게 빠질까, 아니면은 내가 가서 싫은 소리 들으면서 사람하고 대화를 할까라는 게 매우 중요하게 될 것"이라며 "그리고 그 안에서의 비즈니스 모델들, 그러니까 돈 벌려고 이들의 모형을 잘 봐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 AI와 사랑에 빠지는 영화 <그녀>의 한 장면. ⓒ㈜더쿱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허환주

2009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이후, 사람에 관심을 두고 여러 기사를 썼다. 2012년에는 제1회 온라인저널리즘 '탐사 기획보도 부문' 최우수상을, 2015년에는 한국기자협회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