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가 국내 최초로 AI와 양자의 융합연구 체계를 갖춘 융합연구원을 출범하고 개방형 연구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부산대학교는 대한민국의 해양주권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핵심 거점으로 '장영실 AI융합연구원'을 공식 출범한다고 28일 밝혔다. 장영실 AI융합연구원은 조선시대 위대한 과학자인 장영실의 실용정신과 창조적 과학정신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연구기관으로서 'AI 융합과학주권 선도'를 비전으로 한다.
연구원의 전략적 추진체계인 'ACTS'는 AI 산업화와 AI 코어, AI 융합, AI 강화의 머릿글자를 딴 것으로 AI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기술 발전의 가속화를 목표로 한다. 특히 AI 융합과 AI 강화 영역을 핵심축으로 삼아 동남권 산업 발전에 특화된 세계적 수준의 AI 융합연구를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최초로 '양자' 분야를 AI 융합연구 체계에 포함시킨 것도 특징이다. 부산대는 이를 통해 AI와 양자물리·양자컴퓨팅·AI 반도체 간의 융합연구로 차세대 계산혁명을 선도하고 AI의 한계를 극복하는 퀀텀 AI의 실증적 연구기반을 구축한다.
연구원은 국내외 모든 AI 연구자와 기관이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연구플랫폼으로 설계됐다. '프로젝트 센터'라는 유연한 조직 운영체계를 도입해 국내외 대학, 정부출연연구소, 민간 기업의 연구자들이 각자의 주제를 갖고 자유롭게 참여·협력할 수 있는 공유형 연구 생태계를 조성한다.
최재원 부산대학교 총장은 "장영실은 과학의 실용성과 인간 중심의 혁신을 결합한 인물"이라며 "부산대는 그 정신을 계승해 신 해양주권 시대를 여는 AI 융합과학의 중심이자 전 세계 연구자들이 모여 협력하는 개방형 과학 허브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