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6월 실시될 광주 남구청장 선거를 앞두고 유력 주자 중 한 명인 황경아 남구의원이 본인 명의의 현수막 민원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휩싸였다.
황 의원 측은 "의회에 접수된 민원을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처리하려 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민원인은 "공무원이 내 전화번호를 알려졌다"고 주장하며 논란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사건의 발단은 최근 한 시민이 지난 23일 남구의회에 '황경아 의원의 출판기념회 현수막이 운전 시야를 방해해 불편하다'는 취지의 민원을 제기하면서 시작됐다.
◇"불편 해소하려 전화" vs "내 번호 어떻게 알았나"
의회 직원으로부터 민원내용과 함께 민원인의 연락처를 전달받은 황경아 의원은 즉시 해당 민원인에게 전화를 걸었다.
황 의원은 "안녕하십니까, 황경아 의원입니다. 현수막 때문에 불편하시다는 민원을 주셨다고 들었다. 위치를 알려주시면 바로 철거하겠다"고 말하며 민원 해결에 나섰다.
하지만 민원인은 "내 전화번호를 어떻게 알았느냐", "전화 태도가 뭐냐"며 문제를 제기했고 불편하다고 주장한 현수막 위치는 끝까지 알려주지 않은 채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거론하며 강하게 항의했다. 이후 민원인은 황 의원과의 통화·문자 내용 등을 지역 방송사에 제보했다.
황 의원은 "관공서에 전화하면 상대방 전화번호가 찍히고, 통상 민원사항은 연락처·이름·내용이 적시돼 전달받는다"면서 "민원 해결을 위해 전화한 것이 어떻게 개인정보 유출이 되느냐"고 황당해 했다.
이어 "민원인의 불편을 해소하려는 목적이었을 뿐 어떤 악의도 없었다. 결국 끝까지 문제가 된 현수막 위치를 알려주지 않았고 처음 통화할 때부터 누군가 개입됐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억울함을 토로했다.
◇ 남구청·의회 "정상적 민원처리 절차"
이번 논란의 핵심 쟁점은 '개인정보 유출' 여부다. 이에 대해 남구청과 남구의회 모두 "개인정보를 유출한 정황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남구의회 관계자는 "의회로 접수된 민원은 소관 위원회를 통해 집행부에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의원 개인과 관련된 민원의 경우, 운영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해당 의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민원내용이 적힌 편지 등은 바로 의원 개인에게 전달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남구청 관계자는 "개인정보 유출은 없었고 운전 시야를 가리는 정도의 현수막은 게첨되기 어렵다고 본다"면서 "대신 낮게 걸리거나 교통 교차로, 어린이보호구역, 소방시설 등에 걸린 현수막은 수시로 제거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서는 내년 남구청장 선거를 앞두고 유력 후보인 황 의원을 흠집내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깔린 것 아니냐는 의심이다. 통상적인 민원처리 과정을 '개인정보 유출'로 확대 해석해 정치적으로 공격했다는 분석이다.
한 지역 정치권 인사는 "현수막 민원은 구청 광고물계에 접수돼 철거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굳이 의회로 민원을 제기하고, 민원 해결을 위해 전화한 의원에게 개인정보 문제를 제기한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