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의회 A의원이 특정 업체에 수의계약을 종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A의원이 사업부서 공무원에게 “특정 업체의 사업자 면허가 나올 때까지 계약을 보류하라”고 요구했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시의원이 공사 이권에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프레시안 취재를 종합하면, 포항시는 신광초등학교 등 6개소를 대상으로 한 ‘도로표지면 구매·설치 공사’ 추진을 위해 올해 추경예산 약 1억 원을 확보했다.
이 사업은 아이들의 등굣길 안전 등을 고려해 지난 6~7월에 발주가 요구되는 다소 시급한 사업이었다,
하지만 A의원의 개입 의혹으로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A의원이 지목한 것으로 알려진 B업체는 정보통신공사업 면허를 가진 회사로, 지난 달 27일 ‘도로표지병’ 면허를 새로 등록한 것으로 확인돼, 이번 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면허 등록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B업체는 면허 갱신을 마친 뒤 포항시와 물품 납품 계약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사업은 특성상 자재 납품과 시공·설계를 일괄 발주해야 효율적임에도, B업체에 맞길 경우 납품과 시공을 분리 발주해야 해 비효율성 지적이 일고 있다.
계약이 체결되면 약 1억 원 규모의 예산이 납품과 시공으로 나뉘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더구나 A의원이 시정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사업 관련 내용을 문제점으로 제기한 이후 이뤄진 사례여서 A의원의 연루설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해 A의원은 “지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와 관련한 공사업체가 포항 지역에 단 한 곳만 등록돼 있어 계속 공사를 맡아왔다는 점을 확인하고,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경쟁을 통한 수주를 지적했을 뿐”이라며 “B업체와는 개인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최근 포항시청 내부에서는 “일부 시의원들의 이권 개입 및 압박이 사실상 권리남용 수준에 이르고 있다”고 관련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고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편 포항시는 지난 2018년 도내 최초로 지역업체의 수주 확대를 위한 조치로 ‘지역업체 수주 확대 및 보호지원 훈령제정·시행’을 발표해 시민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