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이 3년전 화학안전사고 위험이 높은 수은 처리를 부실하게 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박원종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영광1)은 3일 도교육청에서 열린 제395회 행정사무감사에서 "도교육청·지역청·학교 간의 물품 관리 네트워크가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소방청 발표 자료를 보면 화학사고 요인 중 수은이 많고, 이중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적지 않은 양이 누락됐다"면서 "단순 실수가 아니라 행정의 기본 관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은 결과"라고 비난했다.
박 의원이 도교육청으로부터 전달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2022년 총 8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남 지역 학교 액상수은과 수은 함유 기자재 전수조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2025년 최근 재차 전수조사를 진행해 1300여 점이 추가로 확인됐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 당시 일부 학교에서 수은 기자재 누락 사실이 확인되면서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8억원을 투입해 처리를 마쳤음에도 수거가 재차 이뤄진 것은 행정 비효율"이라며 "일회성 조치가 아니라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도교육청은 "2022년도 조사 당시 기자재 누락이 있었고, 과학실무사 등 전문인력의 조사에서 1300점이 새로 확인됐다"면서 "조기 처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