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서민들의 금융 부담을 덜고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금융·복지 복합지원 서비스’를 4일부터 본격 추진한다.
이 사업은 금융과 복지를 한데 묶은 통합형 지원모델로, 금융취약계층이 생활 속에서 직접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전북도는 지난 9월 부산·광주에 이어 전국 세 번째로 금융위원회와 ‘금융·복지 복합지원 협업체계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금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 신용회복위원회, 전북신용보증재단 등과 협력망을 구축하고, ‘찾아가는 금융상담센터’ 운영과 기관 간 상호 교육 체계를 마련했다.
이 서비스의 핵심은 현장형 금융지원이다.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가 없는 시군의 주민들을 위해 금융 상담 인력이 직접 찾아가 소액대출, 채무조정, 긴급생활자금 등 실질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첫 일정은 4일 부안군을 시작으로, 남원(11월 12일)·진안(14일)·고창(18일)·김제(19일)·정읍(24일)·완주(26일) 순으로 진행된다. 상담은 전북신용보증재단 각 시군 지점에서 이뤄진다.
또한 금융과 복지 현장의 연계 강화를 위해 기관 간 직원 교차교육도 병행된다. 지난 10월 21일에는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회복위원회 강사를 초빙해 부안군 사회복지 담당자 25명을 대상으로 첫 교육이 진행됐다. 도는 앞으로 수요에 따라 연중 확대할 계획이다.
김인태 전북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찾아가는 금융상담센터 등 금융·복지 복합지원 서비스가 도민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내년에는 보다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포용적 금융 환경 조성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