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지난 9월 기록적 폭우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연내 재난지원금 지급을 확정했다. 피해 주민의 생활 회복과 지역 복구에 필요한 총 예산은 312억 원 규모다.
전북도는 5일 피해조사와 중앙부처 협의를 마무리하고 복구계획을 최종 확정했으며, 피해를 입은 1만 2589세대에 총 291억 원의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원금은 피해 유형별로 차등 지급되며, 시군청과 읍면동사무소에서 세대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예산은 제3회 추경을 통해 확보되어 연말까지 교부가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복구계획에서는 지원 단가도 대폭 상향됐다. 주택 침수 가구의 경우 기존 350만 원에서 700만 원으로, 소상공인 점포 피해 지원금은 50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인상됐다. 또한 농·임·수산물 피해 보전율이 50%에서 100%로 늘어나, 3426세대가 추가 보상을 받게 된다.
전북도는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를 상대로 단가 인상과 피해 인정 범위 확대를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으며, 이를 통해 국비 159억 원을 확보했다.
김제시를 중심으로 피해 조사 기간을 연장하고, 현장 자문단을 직접 파견한 점도 국비 지원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김제를 포함한 8개 시군이 국비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
복구 대상에는 농작물 2369ha, 주택 469동, 소상공인 점포 2787곳 등 총 3만여 건의 피해가 포함됐다.
당시 전북에는 평균 137mm의 비가 내렸으며, 군산(296mm)과 익산 함라면(260mm) 등 서북부 지역에 집중됐다. 특히 군산시는 시간당 152mm의 폭우를 기록하며 기상관측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공공시설 복구에는 국비 9억 원과 도비 4억 원을 포함한 21억 원이 투입된다. 또한 국세·지방세 납부 유예, 재해복구자금 융자, 건강보험료 및 전기·통신요금 감면 등 24개 분야의 간접 지원도 병행된다.
김관영 도지사는 “집중호우 직후부터 현장조사와 중앙부처 협의에 총력을 기울인 결과, 대부분의 시군이 국비 지원 대상에 포함됐다”며 “피해 도민들이 조속히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지급하고, 다가올 겨울철 재난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