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장유여객터미널의 예산 투입은 김해시는 0원 입니다. 모든 사업은 민간이 시행하고 있습니다."
홍태용 김해시장은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홍 시장은 "요즘 장유여객터미널 문제를 두고 많은 시민들께서 걱정과 답답함을 전해주고 있다"며 "일부 여론에서는 '김해시가 많은 예산을 들이고도 터미널을 운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오해가 있는데 사실은 다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일로 인해 불편과 오해를 겪고 계신 시민 여러분께 깊은 이해를 부탁드린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홍 시장은 "장유여객터미널 사업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세 차례의 협약을 거쳐 민간 시행사가 추진한 사업이다"면서 "김해시는 당시 협약을 통해 사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만을 약속했을 뿐 부지 매입이나 건축에 시비(市費)는 전혀 투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시행사가 공사 과정에서 재정난을 겪으며 대출과 채권이 얽힌 복잡한 상황이 발생되었다"며 "국유재산법상과 채권이 설정된 재산은 김해시가 기부채납으로 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만약 기부채납을 강행할 경우, 터미널에 설정된 수많은 대출금과 공사대금 미지급분 등 추정이 어려운 채무까지 김해시가 함께 떠안게 되는 결과가 초래된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그것은 결국 시민의 세금으로 민간의 빚을 갚는 일이 되기에, 김해시는 이를 결코 허용할 수 없다. 즉 법적·재정적으로 김해시는 지금 터미널 건물을 인수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김해시는 시행사와의 세 차례 협약 과정에서도 사업이 중단되지 않도록 기한 연장·조건 조정·행정적 배려를 거듭해 왔다"면서 "
시행사는 '버스터미널 운영권과 일부 상가 운영권을 시행사측에 넘길 경우, 이후 기부채납을 하겠다'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하지만 그럴 경우 매년 수억 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어 결국 그 손실을 시민의 세금으로 보전해야 하는 위험이 있다. 이에 김해시는 시민의 재정을 지켜야 하는 책임감으로 이 제안을 수용할 수 없으며 시민의 이익이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문제 해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 시장은 "현재 김해시는 터미널의 법적 귀속 문제를 면밀히 검토 중이다"며 "필요할 경우 법적 절차를 통한 강제귀속(기부채납)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 시장은 또 "터미널을 둘러싼 교통 여건은 과거 계약당시와 크게 달라졌다"면서 "운수업체들이 무계동 터미널 경유를 원치 않는 실정이다. 이제는 터미널 중심의 교통보다 시민이 실제로 이용하는 노선 중심의 교통 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홍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장유지역의 시외버스 임시정류소 6곳과 시내버스 이용 불편 해소를 위한 노선과 증차를 통한 전면 개편을 준비하고 있다"며 "중·장기적으로는 부전~마산 복전철과 동남권 순환철도(장유역 경유)까지 철도망이 완성되면, 장유는 김해를 넘어 동남권을 잇는 교통의 핵심 거점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홍태용 시장은 "김해시는 민간기업의 어려움을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무엇보다 시민의 이익과 도시의 미래를 우선해야 한다는 원칙을 지키고 있다"고 하면서 "이런 일로 인해 불편과 오해를 겪고 계신 시민 여러분께 깊은 이해를 부탁드린다. 김해시는 법과 원칙 속에서 시민의 재정과 신뢰를 지켜가겠다. 그리고 장유의 교통이 더 편리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끝까지 책임 있게 해결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