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과 '정치 브로커' 명태균 씨가 지난 8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에서 8시간 대질신문을 받은 일과 관련, 서울시는 "(오 시장이) '울었다'는 얘기나 아파트 등에 대한 녹취라든가 통화 내역들이 나와야 되는데, 그런 것들을 하나도 입증하지 못한 것"이라고 의미를 규정했다.
김병민 서울시 정무부시장은 10일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명태균 씨는 굉장히 말을 자주 바꾸는 사람"이라며 "국정감사 자리에 나와서도 굉장히 많은 것들을 본인이 세상에 알릴 것처럼 얘기했지만 국정감사가 끝나고 나서 남는 건 '연애 편지' 하나"라고 꼬집었다.
김 부시장은 "빈수레가 요란하다는 얘기가 명 씨에게 딱 맞는 얘기가 아닌가 싶다"며 "결국 조사라는 건 명백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물증들이 필요할 텐데, 그동안 명 씨 말에 의존해 왔던 많은 부분들이 이번 특검 조사를 통해서 어느 정도 정리가 되는 상황이 아닐까"라고 주장했다.
김 부시장은 구체적으로 "(특검 조사에서) 명 씨가 본인의 말에 대해서 평행선을 그린 것 아니냐"며 "2021년 4월 7일 보궐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를 불법으로 만들어내고 여기에 대해 3000만 원이 넘는 돈을 대납했다는 것을 (특검이) 정치자금법으로 보고 있는 상황에서, 오 시장이 여론조사 과정에 어떻게 개입했는지, 돈을 대납하는 과정에 어떤 방식의 연결이 있었는지를 확인해야 되는데 1년 전부터 시작됐던 수사였고 오 시장 집무실·자택 압수수색에 휴대전화 8개를 다 가져가서 포렌식까지 진행됐지만 명 씨와 오 시장 간의 연결고리를 찾은 바가 없는 것"이라고 했다.
김 부시장은 오 시장과 명 씨간의 만남 횟수에 대해 오 시장 측은 '2회'라고, 명 씨는 '7번'이라고 엇갈린 주장을 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의미가 없는 내용"이라며 "선거 과정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서 여러 관계들을 맺게 되는데, 명 씨가 스토킹하듯이 찾아와서 있었던 내용들을 오 시장이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그게 7번이든 8번이든 횟수는 중요치 않다"고 일축했다.
그는 오 시장의 후원자로 알려진 김한정 씨가 명 씨에게 금품을 건넨 의혹에 대해 "4.7 보궐선거를 전후한 시점부터 명 씨와 김 씨가 서로 관계를 맺게 되고 그 해에 굉장히 많은 선거들이 있었다"며 "그들 간의 관계에서 일어났던 일들을 규명해야 되는데도 불구하고, 이것을 '오 시장을 위한 여론조사 대납'이라고 정리해서 프레임을 엮어 들어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김 씨가 강모 씨를 통해 명 씨에게 3300만 원을 건넨 것으로 알려진 데 대해 "오 시장은 정말 몰랐다"며 "3300만 원을 한 번에 준 것도 아니고 몇백만 원씩 돈을 계속해서 입금하게 되는데, 나중에 김 씨는 '명태균이 내 아는 동생이라는 게 자랑스러웠다. 명태균을 연결해서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어가게 되는데 그 뒤로는 학원비가 필요해서 달라고 했다' 이런 주장들을 얘기하고 있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김 씨가 오 시장 자택 근처 음식점에서 음식값을 결제한 내역이 확인됐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그는 "정말 황당한 내용"이라며 "오 시장이 자양동에 살았다는 것은 알려진 내용이고, 건국대 근처에 가보면 '○○궁'이라는 프랜차이즈 고깃집이 있다. 자택 인근이 아니라 건국대 번화가에 있는 누구나 가는 식당인데 거기에서 김 씨가 결제한 내역이 나온 게 오 시장 자택 인근(이라는 것)과 무슨 관계가 있나. (오 시장은) 거기에 간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부시장은 나아가 "오 시장에 대한 수사는 특검이 출범하고 나서도 진척된 바가 없는데 이번 특검을 관장하고 있는 민주당의 주요 정치인이 '왜 오 시장에 대한 수사는 하지 않느냐'고 특검에 하명 수사를 지시하듯이 정치적 발언을 쏟아냈다"며 "내년 지방선거가 7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시기적으로 지방선거에서 오 시장에게 뭔가 정치적인 타격을 입히려는 것 아니냐 하는 의심의 눈초리들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최고위에서 '(가) 오세훈 서울시정 실패 및 개인비리 검증 TF'를 구성하고 단장에 천준호 의원을 임명하기로 의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