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명시는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뚜렷한 효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광명시는 이날 시청 중회의실에서 ‘민생안정지원금 효과분석 결과’를 공개하고, 지원금이 시민 생활 안정과 지역경제 회복에 실질적 성과를 냈다고 발표했다.
지난 1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시민 1인당 10만 원씩 광명사랑화폐로 지급된 민생안정지원금은 전체 시민의 93.4%가 신청해 총 260억 원이 지급됐다. 사용기한인 4월 30일까지 98.9%가 소비돼 257억 원이 지역 내에서 사용됐다.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분석 결과, 이 지원금은 2044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계정행렬(SAM)’ 모형을 적용한 분석에서 경기도 내 생산유발효과는 573억 원, 가계소득은 105억 5000만 원, 지방세수는 15억 5000만 원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적으로는 총 501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했다.
민생안정지원금 지급 이후 지역화폐 이용률도 크게 증가했다. 시민 설문조사에서 64.6%가 광명사랑화폐 사용이 늘었다고 응답했으며, 도내 지역화폐 소비쿠폰 신청률은 55%대를 기록해 경기도 1위를 차지했다.
서울대 분석에 따르면 식품·외식 업종의 일평균 거래 건수는 지급 전보다 3만3천 건 증가했고, 일매출은 2억 3000만 원 이상 늘었다. 음식점·식료품점·편의점 등 생활밀접 업종뿐 아니라 미용·의류·문화 분야에서도 매출 상승세가 확인됐다.
정책 만족도 조사에서는 시민의 84.6%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85%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소상공인 역시 78.8%가 정책에 만족했고, 81.6%가 상권 활성화 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이러한 소비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광명사랑화폐의 인센티브율을 상향하고, 캐시백 제도와 충전 한도 확대를 시행해왔다. 올해 11월부터는 인센티브율을 15%로, 보유 한도를 200만 원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광명사랑화폐 발행액은 2019년 78억 원에서 올해 10월 2천457억 원으로 31.5배 증가했다.
시는 향후 디지털 접근이 어려운 노인·장애인 등을 위해 2026년 지류형 지역화폐를 도입할 계획이며, 시민 참여형 가맹점 확대 사업과 인센티브 이벤트도 추진할 방침이다.
박승원 시장은 “민생안정지원금은 시민의 일상 회복과 지역경제의 체질 개선을 이끈 대표 정책”이라며 “시민과 소상공인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경제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