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소방본부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전국 최초의 모바일 앱 서비스를 선보여 주목된다.
생존을 결정하는 '골든타임 최초 4분' 내 초기 대응력을 강화하는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가 11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돌입했다.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는 심정지 신고가 접수되는 즉시, 환자 발생 지점 반경 300m 이내에 있는 심폐소생술(CPR) 가능 자원봉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출동 알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119 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 가장 중요한 4분 이내에 자원봉사자가 현장에 출동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거나 자동심장충격기(AED)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 기반의 생명 안전망 구축 사업이다.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는 119 상황실이 심정지 신고를 접수하면 상황실에서 반경 300m 내 앱 등록 자원봉사자에게 상황을 알리고 자원봉사자는 앱을 통해 수락 또는 불가를 선택해 지원 여부를 결정하며 수락한 봉사자는 즉시 현장으로 이동해 구급대 도착 전까지 응급처치를 시행하게 된다.
현재 충남 도내 15개 시군 전역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원 등 약 3000여 명이 자원봉사자로 등록돼 있다.
충남소방본부는 향후 의료종사자, 응급의료 관련 전공 학생, 심폐소생술 교육 수료 일반 시민까지 참여 대상을 적극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 앱 서비스 도입은 초기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통계 결과에 기반한다.
질병관리청의 2024년 상반기 급성심정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의 생존율은 14.3%로, 미시행시 6.5% 대비 2.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 기능 회복률 역시 일반인 CPR 시행 시 11.4%로, 미시행과 비교했을 때 3.2배나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심정지 환자의 45%가 가정에서, 64%가 공공장소가 아닌 곳에서 발생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구급대보다 먼저 도착한 주변 목격자의 즉각적인 응급처치는 환자의 생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성호선 충남소방본부장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처음 4분 내 응급조치가 이뤄지느냐에 달렸다"며 "우리 동네 생명지킴이가 지역사회 안에서 실질적인 안전망 역할을 하도록 도민 대상 교육·홍보를 지속하고 참여 기반을 다져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