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후경제 해법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방안을 제시하며, 주요 반도체 기업들과 손을 맞잡았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날 수원시 영통구 소재 경기도서관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글로벌반도체협회(SEMI)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경기도는 행정지원 및 지자체 간 협력, 기업의 재생에너지 도입 여건 개선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재생에너지 활용을 통한 탄소중립 달성 기여 △한국반도체산업협회는 중소·중견 반도체 기업의 재생에너지 조달 및 탄소중립 이행 지원 △글로벌반도체협회는 해외 우수사례 공유 및 정책제안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반도체가 미래 먹거리의 핵심인 만큼 변화하는 환경과 도전에 대응해야 한다”며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과 재생에너지 전환에 앞장서 대한민국 전체를 견인하는 모범을 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해외 반도체 장비업체들도 전력과 용수, 특히 재생에너지 공급 문제를 중요하게 본다”며 “경기도는 정부보다 먼저 기후위기 대응에 나서 예산과 사업을 늘리고 경기 RE100을 선언했다”고 강조했다.
SEMI의 사이피 우스마니 상무는 “경기도와 한국 정부가 재생에너지와 청정에너지에 비전을 갖고 투자하는 모습에 감사드린다”며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도는 민선 8기 동안 1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을 신규 설치한 경험을 바탕으로 반도체 기업의 재생에너지 공급 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도내 건물 지붕, 주차장 등에서 생산되는 소규모 재생에너지 자원을 통합해 대·중소 반도체 기업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거래 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또한 도는 2030년까지 반도체 산업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한 ‘재생에너지 1GW 조달 체계’를 구축하고, 공급 부지 발굴 및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재생에너지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협약식은 ‘종이 없는 행사’로 진행돼, 참석자들이 태블릿을 통해 서명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