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등록증 확인을 단 한번도 하지 않은 채 서울 업체를 10년 동안 지원해온 전북자치도 출연기관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대중 전북자치도의원(익산 1)은 11일 익산시에 있는 '에코융합섬유연구원' 행정사무감사에서 "연구원이 추진하는 '전북형 첨단산업 육성지원 사업'과 관련해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은 서울 A기업에 10년간 지속적으로 박람회 참가 비용을 지원했다"며 강력히 비판했다.
'전북형 첨단산업 육성지원 사업'은 도내 섬유제조 기업의 신소재 개발 및 산업 전환지원을 통한 개발소재·제품의 고부가가치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전북자치도가 연구원에 '프리뷰 인 서울 박람회'에 참가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원해 도내 섬유기업의 판로개척에 도움을 주고 있다.
연구원은 도비 보조금을 사용해 박람회에 매년 10개 지역업체 상품을 홍보할 수 있는 부스를 마련했는데, 이 10개 업체에 엉뚱하게도 서울에 본사를 두고 지역에 공장만 둔 업체가 참여해왔다는 지적이다.
김대중 도의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업체모집 공고에 '사업의 선정기준'이 명확히 '전북 소재 섬유 관련 기업'으로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소재지 인 A기업은 올해까지 10년동안 박람회 참가에 매번 선정되었다.
김대중 도의원은 "A기업이 제출한 사업자등록증을 확인한 결과 해당 기업의 주소지가 서울로 되어 있음을 확인했다"며 "A기업의 익산지사의 현장 확인 결과 법인 지점 등기가 되어 있지 않은 곳으로 생산공장이 아닌 A기업의 물류창고로 사용되고 있음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김대중 도의원은 "서울에 있는 A기업이 지원을 받으면서 도대체 전북자치도를 위해 무엇을 했느냐"며 "연구원과 매년 평가위원들은 해당 기업의 기본적인 소재지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이며 엄중한 책임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에코융합섬유연구원의 고위 관계자는 "담당직원이 통합부스 운영에 포함하는 업체의 본사까지 확인해야 했는데 그렇게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당초 공고에도 '전북 소재 기업'으로 돼 있어 본사와 공장 기준인지 모호해 실수를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지역업계에서는 "10년 동안 업체를 지원하면서 사업자등록증 한번 확인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라며 "이의 재발방지를 위한 강도높은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