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전북 32개·타지역 19개 경기장 '재배치'…하계올림픽 유치 "문제는 돈이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전북 32개·타지역 19개 경기장 '재배치'…하계올림픽 유치 "문제는 돈이다"

전북자치도 13일 하계올림픽 유치 경기장 활용계획 발표

전북자치도가 전주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51개 경기장을 전주 32개와 타지역 19개로 나누는 등 '도시 간 연대'를 통해 경쟁력 강화에 나섰지만 재정 문제를 풀어야 하는 과제는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전북도는 13일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관련 브리핑을 통해 "경기장은 대부분 기존 시설을 개선하거나 임시시설로 대응하며 건립이 예정된 시설을 활용하는 등 별도의 경기장 신축은 없다"고 밝혔다.

전북자치도는 당초 전주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총사업비로 9조1000억원 가량을 예상했지만 기존 설의 최대한 활용이란 IOC 방침에 맞춰 경기장 신축을 백지화하는 등 5조원대로 하향 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11일 도청 중회의실에서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골든타임 실행TF’ 킥오프 회의를 열고, 주요 현안을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한 실행형 조직을 공식 출범시켰다. ⓒ전북자치도

사업타당성 조사 용역을 당초 올 9월 마무리에서 연말로 연장한 굵직한 이유 중의 하나도 총사업비 조정이었다는 분석이다.

전북도가 당초 예상했던 총사업비는 경기장 시설비 1조4000억원과 선수촌 시설비 1조6000억원, 지원시설비 1조2000억원 등의 각종 시설비와 운영비 4조9000억원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설비와 운영비 비율이 대략 46%대 54% 수준인 셈이다.

총사업비를 5조원대로 줄이기 위해 4개의 신축경기장 건립을 백지화함에 따라 9000억원 가량 줄일 수 있게 됐다.

또 이날 발표한 51개 경기장의 '32(전북)대 19(타 지역)' 계획에 따라 시설개선이나 임시시설 설치 등의 비용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것만으로 당초의 9조1000억원에서 4조원가량을 떨어낼 수 없다는 점이다.

결국 경기장 재배치와 관련해 경기장 시설비도 과감한 구조조정을 해야 하고 선수촌 시설비는 물론 기존 계획의 50% 이상 차지하는 운영비를 대폭 축소 조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대회운영비'는 행사 운영을 위한 각종 장비와 물자, 조직위 운영 등에서부터 경기와 시설운영, 교통, 통신 등 전반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통상 본행사 운영비가 전체의 40%를 차지하며 프레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을 위한 예산도 20% 점유한다.

전체 예산의 절반 이상 차지하는 '운영비'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간접투자를 줄여야 한다.

기존 경기장 시설개선이나 임시 경기장 건립 등 '직접 투자비용'은 축소 조정에 한계가 있는 만큼 선수촌 건립과 기자촌 건립 등 이른바 '간접 투자비용'을 대폭 줄이는 과제를 풀어야 한다는 말이다.

그렇다고 경기장 재배치에 따른 비용을 무시해도 된다는 말은 아니다.

이번에 재배치된 51개 경기장 중에서 기존 시설은 24개로 이 중에서 절반을 웃도는 14개(58%)를 개선해야 할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는 당초 경기장 시설 증축 총사업비로 3200억원 이상 계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시설 개선은 경기장 규격이 국제연맹 기준에는 맞지만 IOC의 좌석 기준에 미달해 좌석을 증축해야 하는 경기장으로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번 경기장 일부 재배치를 통해 '시설 개선' 비용은 유동적이지만 이와 관련한 재정 문제도 고민해야 할 대목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시설이 노후화하여 경기장 주변 환경과 시설개선이 필요한 환경개선비용도 1000억원을 넘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당초 예상했던 임시경기장 비용도 공사비와 철거비 등만 1600억원에 달했다는 후문이다.

임시경기장이 필요한 종목은 3×3농구와 사이클로드, 스케이트보드, 카누, 비치발리볼 등 10여개 종목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올림픽 종료 이후 활용도가 떨어지는 종목이다.

경기장과 훈련시설로 환경·시설 수준이 달라 각각 개선해야 할 사업량도 다르겠지만 올 연말에 나올 사업타당성 조사 용역에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비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학계의 한 관계자는 "전북도가 타지역 경기장 19개를 활용하겠다는 것은 쉽게 표현하면 '경기장을 빌려쓰겠다'는 것"이라며 "이들 경기장의 개보수 비용은 전북도가 해결해야 하는 것인지 그렇지 않고 해당 지자체가 돈을 내야하는 것인지의 '부담 주체'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전북자치도청 전경 ⓒ전북자치도

전북자치도는 이번 경기장 재배치 계획을 통해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저비용·고효율 대회를 실현하고 연대도시 간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대한민국의 올림픽 유치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만큼 전주하계올림픽 유치과정을 통해 국가브랜드를 강화할 것"이라며 "미래세대에게 글로벌 시민의식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도록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전주하계올림픽 유치의 지상과제인 총사업비 축소 조정을 어떻게 해나갈지 전북도의 올 연말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