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가 국내 최초로 ‘피지컬AI 융합공학과’를 신설하며, 인공지능과 물리 기반 기술을 아우르는 융합 교육체계를 본격 구축한다.
지난 8월 정부의 ‘피지컬AI 핵심기술 실증’ 국가 시범사업 주관기관에 오른 데 이어 대학원 교육 과정까지 마련되면서, 전북대는 피지컬AI 분야의 전주기 플랫폼을 사실상 완성했다.
새로 출범하는 대학원 과정은 AI·로봇·소재·에너지 분야를 통합적으로 다루며,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물리 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연구할 수 있는 국내 첫 전문과정이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중심 AI 교육과 달리, 제조·물류·에너지 등 현실 산업환경을 직접 실험하고 해석하는 실증 중심 교육이 특징이다.
전북대는 국가 시범사업을 통해 ‘K-다크팩토리’ 모델을 선보이며 공장을 하나의 거대한 로봇처럼 통합 인식·제어하는 새로운 제조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총사업비 389억 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을 기반으로 교내에는 1000평 규모의 로봇 실증 공간이 마련되며, 장기적으로는 약 18만㎡ 규모의 ‘피지컬AI 전용캠퍼스’ 조성이 추진된다. 현대자동차·SKT·네이버·리벨리온 등 민간기업과의 협력도 확대될 예정이다.
전북대는 카이스트·성균관대와 함께 국내 최초로 피지컬AI 리빙랩을 공동 운영하며 학생들의 현장 실습 기회를 강화하고 있다. 기술검증랩에서는 로봇·자율주행·스마트제조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재현해 기업들의 기술 검증과 개선을 지원하는 구조도 마련됐다.
현재 전북대는 교수 41명, 연구원 491명 등 총 532명 규모의 연구진과 주요 기업·연구기관이 참여하는 대형 컨소시엄을 구성해 피지컬AI 연구·실증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
양오봉 총장은 “전북대의 피지컬AI 융합공학과 신설은 미래 산업 변화에 대응할 전문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출발점”이라며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하고 산학연이 함께하는 실증 중심 교육을 강화해 국가 AI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