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의 중앙부처·산하기관 파견 인력이 80여 명에 달하지만 기준도 절차도 없이 지휘부 의중에 따라 결정돼 조직내 불신만 증폭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김슬지 전북자치도의원(민주당 비례)은 13일 '전북도 자치행정국 소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도청 공무원의 중앙부처와 산하기관 파견·교류 인사가 명확한 기준 없이 운영되고 있다며 강도 높은 개선을 요구했다.
현재 전북자치도의 파견·교류 인원은 총 86명에 달하지만 정작 선발 절차와 기준이 명문화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다.
김슬지 도의원은 "파견기관의 업무 강도와 근무조건이 천차만별임에도 현재는 인사팀 내부 판단이나 지휘부 의중에 따라 대상자가 결정되는 구조"라며 "이는 누가 어떤 기관으로 배치되는지 알 수 없어 조직 내 불신을 키우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파견기관 간 근무환경 차이로 인한 특정기관 쏠림 현상을 언급하며 "대부분의 공무원은 업무량이 적거나 경력에 도움이 되는 기관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며 "지금처럼 기준도 없고 절차도 불투명한 상태에서는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파견 기간의 편차도 문제로 제기됐다.
파견 직원 중에 일부는 1년, 일부는 1년 6개월, 다른 직원은 2년 이상 근무하는 등 기준이 들쭉날쭉한 실정이다.
김슬지 도의원은 "기관 요구가 다를 수 있다 해도 파견 기간조차 명확한 규정 없이 운영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힘 있는 직원은 좋은 기관으로, 그렇지 않은 직원은 업무가 많은 기관으로 간다는 불만이 있다"고 주장했다.
김슬지 도의원은 "이런 말이 도청 조직에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인사행정의 신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라며 "인사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공정한 파견자 선발 기준과 평가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슬지 도의원은 "객관적 자료를 기반으로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 조직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