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지역 곳곳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주민도움센터’ 확대에 나선다.
단순한 복지 행정이 아닌, 주민의 일상에 직접 손이 닿는 생활밀착형 돌봄 체계를 자치단체 차원에서 넓혀가겠다는 의지다.
전북도는 현재 12개 시·군에서 운영 중인 13개 주민도움센터를 2026년까지 13개 시·군 14개소로 늘릴 계획이다.
전주시는 기존 1곳에서 2곳으로 확대하고, 완주군은 새롭게 참여한다. 군산시는 ‘우리동네 홍반장’ 사업을 통해 주민도움센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주민도움센터는 2011년 전북이 전국 최초로 도입한 ‘사회복지심부름센터’를 전신으로 한다. 2022년 명칭을 바꾼 뒤에도 전국에서 전북만이 단독으로 운영 중이다.
시장 보기, 병원 동행, 민원 대행, 말벗 서비스 등 기초생활수급자·독거노인·한부모가정 등 취약계층의 일상을 직접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센터는 각 시·군 사회복지협의회가 위탁 운영하며, 상주 전담인력 3명이 상시 대응 체계를 유지한다.
올해 9월 기준 주민도움센터는 총 3만 7500여 건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장 중심의 역할을 수행했다. 단순 생활지원뿐 아니라 위기가구 375건을 발굴해 공공·민간 복지체계로 연계했으며, 병원 동행과 긴급 상황 지원 등 즉각적 대응도 이뤄졌다.
도는 주민도움센터를 향후 통합돌봄체계의 핵심 기반으로 삼을 계획이다. 내년 3월 시행되는 ‘돌봄통합지원법’이 지자체에 통합돌봄 구축을 의무화하는 만큼, 주민도움센터가 지역 돌봄을 연결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맡도록 공공·민간 협력 구조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양수미 전북도 사회복지정책과 과장은 ““주민도움센터는 취약계층의 일상에 실질적으로 닿는 현장 중심 복지 모델”이라며 “센터 확충을 통해 돌봄 사각지대를 줄이고, 누구나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