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가 지난 주보다 4%포인트(P) 하락해 다시 60%대 아래인 59%로 떨어졌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14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다. 부정 평가는 3%P 오른 32%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30%), '경제/민생'(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APEC 성과', '직무 능력/유능함', '소통'(이상 5%), '관세 협상 타결', '서민 정책/복지'(이상 3%) 순으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5%), '경제/민생'(10%),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 '독재/독단'(이상 6%), '외교', '법을 마음대로 변경', '전반적으로 잘못한다'(이상 5%) '부동산 정책/대출 규제'(4%) 등이 꼽혔다.
긍정 평가 이유는 지난 주와 대부분 동일했지만, 부정 평가 이유에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가 우선 순위에 꼽히고 '대장동 사건'이 포함된 점이 눈에 띈다.
갤럽은 "월초 여당이 추진하려던 일명 '재판중지법' 여진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과거 대통령 관련 사건에 대한 검찰의 미항소 과정이 논란된 탓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검찰의 항소 포기 결정에 대해서도 '적절하다' 29%, '적절하지 않다' 48%로 나타났다. 23%는 의견을 유보했다.
진보층 49%는 적절하다, 보수층 67%는 부적절하다고 응답해 정치적 성향별로 맞선 가운데, 중도층은 적절하다(29%)보다 적절하지 않다(48%) 쪽으로 기울었다.
연령별로는 대통령과 여당 지지세가 강한 40·50대에서도 양론이 엇갈렸다. 40대(적절 43%, 부적절 42%), 50대(적절 45%, 부적절 38%)였다.
정당지지도 조사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주보다 2%P 오른 42%, 국민의힘은 2%P 하락한 24%로 나타났다. 이어 개혁신당 3%, 조국혁신당 2%, 진보당 1%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무작위로 추출해 전화조사원이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11.5%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