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후 <프레시안>전북취재본부 책임자의 개인전화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상대방은 흥분된 상태에서 다짜고짜 전북취재본부 소속 한 기자의 연락처를 몰라 전화를 했다며 자신이 왜 전화를 했는지 아느냐고 물었다.
전화를 받은 쪽에서는 누구인지를 물었고 상대방은 '매우 흥분해 가지고 소개가 늦었다'며 공무원노조 남원시 지부장이라고 자신의 신분을 뒤늦게 밝혔다.
그가 전화를 한 이유는 그의 표현대로 인용하자면 '남원시 공직사회가 뇌물 수수 관련해서 대대적 수사라는 제목의 기사를 낸 것'에 대한 항의였다.
그는 "저희가 지금 수사 통보된 것도 없고 입건된 바도 없는데 단지 경찰이 탐문 수사과정에서 공문을 좀 요구한 것 가지고 대대적 수사라고 제목을 내면 곤란하지 않느냐"라고 물었다.
그러면서 "(프레시안의 보도 때문에)여러 매체로부터 전화를 받아서, 그 분(담당기자)이 어떤 경로로, 어떤 취지로 이런 기사를 썼는지 꼭 그 분하고 통화를 하고 싶다"고 요구했다.
그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어떤 경로'는 취재원을 보호하라는 언론윤리 규정 때문에, '어떤 취지'에 대해서는 사실 보도에 별다른 취지가 있을리 없기에 담당기자와 통화를 해도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었을 것이다.
책임자는 기사를 확인한 뒤 그에게 어떤 부분에 화가 났는지를 묻자 "감사실에 확인해본 결과 저희는 수사개시 통보 받은 것도 없고 입건된 사람도 없는데 뇌물 수수로 대대적 수사를 하고 있다라고 되어 있지 않느냐"고 재차 항의했다.
이에 대해 <프레시안>전북취재본부 책임자는 "노조지부장이신데 경찰에서 수사를 한다고 하는데 왜 그렇게 화를 내시나. 경찰의 수사 결과를 지켜보시자. 만약 기사에 (사실과 다른)문제가 있으면 기사를 문제 삼으라"고 응대했다.
공무원노조 남원시지부장의 이날 '무례한' 전화는 우선 사실관계부터 틀렸다.
남원경찰서는 이미 모노레일 사업과 관련하여 '뇌물수수 피의사건'을 수사하고 있었고 그 과정에서 남원시청에 당시 업무관련 10개 부서의 담당자 인사자료를 요청했던 것이 <프레시안>의 취재 과정에서 확인됐기 때문이다.
이미 명시적으로 '뇌물수수 피의사건'을 경찰이 수사하고 있는데도 남원시 지부장은 '저희는 수사개시 통보를 받지 않았'으니 보도가 틀렸다며 불쑥 전화해 담당기자를 찾았던 것이다.
또 남원시청 10개 부서의 업무 담당자 인사자료 등을 요청했기 때문에 '대대적 수사'라고 표현을 한 것인데도 이 조차 문제 삼았다.
더구나 공무원노조를 대표하는 지부장은 공직사회의 청렴과 도덕성을 높이는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위치에 있는 인물이다. 오히려 경찰의 뇌물수수 의혹 수사에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이를 보도하는 언론에 대해서도 중립적 태도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도 공직 내부의 뇌물수수 혐의를 수사하고 있다는 보도에 대해 해당 기자가 어떤 경로와 어떤 취지로 기사를 썼는지, 더구나 언론의 표현에 까지 문제를 삼으며 편집권을 침해하는 '도 넘은' 행태에 대해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
<프레시안>의 확인 결과 남원경찰서는 앞서 지난달 남원시에 2018년 이후 2022년까지 5년간 남원관광지 민간개발 사업과 관련된 10개 부서의 담당자들의 인적사항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 지부장은 공교롭게도 2021년 무렵에 해당 부서에서 근무했었다고 한다. 비록 남원관광지 민간개발 사업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업무를 맡았다 할지라도 오히려 수사를 더 적극적으로 응원하고 공직사회 내부의 비리척결에 앞장서야 할 위치에 있는 사람이 취할 태도는 더더욱 아니다.
직분에 걸맞은 책임 있는 언동을 정중히 요청한다.
물론 <프레시안>도 이번 사안과 관련해 만약 사실과 다른 보도가 있다면 응당 그에 따른 책임을 질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