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서는 △도시브랜드 통합 △글로벌 협력 거버넌스 △지속가능 래거시 등 3개의 전략을 통합 구사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주희 (재)국제스포츠전략위원회 이사장은 15일 전북대 진수당에서 열린 '올림픽도시포럼'에 참석해 '글로벌 올림픽 무대와 도시외교' 기조발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행사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문승우 전북특별자치도도의회 의장, 김희수 도의회 부의장, 우범기 전주시장, 유연성 대한체육회 이사 등 각계 인사 200여 명이 참석했다.
박주희 이사장은 이날 "전북과 전주의 전통문화와 K-컬처의 지속가능한 지역모델을 결합해 '문화주도 올림픽' 개념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며 "올림픽 브랜드를 '전통과 혁신의 공존'으로 정의하고 지역공동체 참여와 탄소중립형 대회로 구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주희 이사장은 "올림픽을 통한 아시아의 협력거점도시로 나가기 위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유네스코(UNESCO) 등과 연계한 다자협력형 프로그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IOC의 미래를 향한 맞춤 기조에 따라 '지속가능한 스포츠 허브'를 제안하고 개발도상국 선수와 청소년 대상 '훈련 인프라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는 말이다.
또 OCA와 국제연맹 등과 협력해 청소년 스포츠 교육, 여성 리더십 등 지속가능한 네트워크 플랫폼을 구축하고 국제기구 협력 프레임을 통해 '민관·국제 파트너십' 중심의 유치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주희 이사장은 지속가능 레거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시민이 만든 대회, 지역이 남기는 미래를 위해 스마트 경기장과 그린인프라 중심의 '탄소중립형 개최'를 계획할 필요가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박주희 이사장은 "대회 전후로 지역 대학과 기업·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올림픽 시민참여 레거시포럼'을 지속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대회 이후 도시·교육·문화·관광이 결합한 지속가능 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주희 이사장은 국제 무대 뿐만 아니라 국내 유치 추진 과정에서도 하계올림픽의 성공적 유치를 위해서는 각급 기관간 긴밀한 소통과 연대에 나서야 한다는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