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한강버스 사고에 민주당 맹공…박주민 "몇 명 다치거나 죽어야 멈출 거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한강버스 사고에 민주당 맹공…박주민 "몇 명 다치거나 죽어야 멈출 거냐"

與 '오세훈 시정 정상화 TF', 서울시당 긴급회견에 대변인 논평 등 십자포화

오세훈 서울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한 '한강버스'가 운항 재개 보름만에 문자 그대로 좌초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일제 공세에 나섰다.

한강버스는 토요일인 지난 15일 저녁 8시24분께 잠실선착장 인근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가 강바닥에 걸려 멈췄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고, 승객 82명은 경찰·소방당국에 의해 모두 구조됐지만 배는 사고지점에 16일 현재까지 이틀째 멈춰선 상태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수심이 낮아 오늘 인양은 어렵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당 '오세훈 시정 실패 정상화 TF'와 서울시당 합동으로 이날 오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사고가 한강버스 재운항을 무리하게 밀어붙인 탓이라며 오세훈 시장을 규탄했다.

민주당 차기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꼽히는 박주민 의원(서울시당 새서울준비특위 위원장)은 회견에서 "지금까지 총 16번 사고가 있었고 어제 낮에도 이미 유사한 종류의 문제가 있었다는 게 알려지고 있다"며 "그럼에도 오 시장은 이에 대한 전면 검토 등이 없이 무리하게 한강버스를 운항하고 있다. 정말 끔찍하게도 시민 한 명 또는 몇 명이 다치거나 죽어야 멈출 것이냐"고 언성을 높였다.

박 의원은 "저희가 계속 운항 전면 중단과 철저한 재검토를 요구한 바 있지만 전혀 듣지 않고 있다"며 "오 시장은 결단을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당 '서울시정 정상화 TF' 단장인 천준호 의원도 "어제 안타깝게도 한강버스가 한강 가운데 멈춰섰는데, 더 놀라운 건 그날 낮에도 이물질에 긁히는 사고가 있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천 의원은 "지금의 상황을 매우 우려스럽게 생각하는 이유는 서울시가 사고 관련 내용을 투명하게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대응 방안을 찾고 있지 않다는 것"이라며 "은폐는 곧 범죄"라고 비판에 가세했다.

천 의원은 "작은 사고에 엄밀히 대응하고 공개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고 징후가 또 은폐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지금이라도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고 안전 관련 전면 검토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김영배 의원도 "시민 안전보다 중요한 가치는 없다"며 "시장님, 시민 목숨을 담보로 정말 시장을 또 하고 싶나"고 거칠게 몰아쳤다. 김 의원은 "어제만 해도 시민 수십 명이, 물 위에서 안전 확보가 안 된 상황에서 담요 쓰고 덩그러니 놓여 있는 상황이 발생했다"며 "적어도 아침에 일어나셨으면 사과부터 하셨어야 한다"고 했다.

민주당 의원과 서울시의원들은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그간 발생한 모든 한강버스 안전사고의 원인과 대응 과정에 대한 공식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라"며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공공교통으로서의 실효성을 평가해 시민 앞에 명확히 설명하라"고 요구하고 "반복되는 사고 및 혈세 낭비에 대해 오 시장이 당장 오늘이라도 시민 앞에 나와 사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민주당 중앙당도 박경미 대변인 명의 브리핑에서 "한강버스가 잠실 선착장 인근 강바닥에 걸려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시민들은 공포에 떨어야 했다"며 "'시민의 발'이 아닌 서울시 행정 난맥상을 드러낸 한강버스"라고 꼬집었다.

박 대변인은 "한강버스는 도입 단계부터 준비 없는 졸속 행정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했다. 그간 이물질 접촉, 프로펠러 로프 걸림 등 고장과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서울시 행정의 안전불감증을 경고해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행을 강행하다가 또 다시 아찔한 사고가 발생한 것은 오 시장의 무능과 근시안적인 행정이 초래한 명백한 인재(人災)"라고 비판했다.

▲지난 15일 서울 한강버스가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인근 강바닥에 걸려 멈춰 있다. 배에 탑승해 있던 승객 80여명은 소방 당국과 서울경찰청 한강경찰대가 출동해 구조됐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곽재훈

프레시안 정치팀 기자입니다. 국제·외교안보분야를 거쳤습니다. 민주주의, 페미니즘, 평화만들기가 관심사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