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경기도가 주도하는 ‘경기기후위성 1호기(GYEONGGISat-1)’가 오는 20일 오전 3시 18분(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기지에서 발사된다. 김동연 지사가 발사 계획을 발표한 지 15개월 만이다.
경기도는 '경기기후위성 1호기' 발사 과정을 당일 오전 3시 10분부터 경기도청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한다고 18일 밝혔다. 위성은 스페이스X의 펠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되며, 사출 과정까지 모두 공개된다.
도는 경기도서관 플래닛 경기홀(지하 1층)에 생중계 관람 공간을 마련해 도민 누구나 사전 신청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현장에서는 △발사 카운트다운 △위성 개발사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전문가 설명 △도민 참여형 실시간 질의응답 △기후위성 임무 소개 등이 진행된다.
도는 도민들이 기후위성의 필요성과 기대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난 17일부터 오는 29일까지 경기신용보증재단 지하 1층 도민쉼터에서 ‘경기기후위성 임시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실제 크기와 동일한 위성 모형과 기후위성 영상, 포토존 등을 볼 수 있다.
경기기후위성 1호기는 약 25kg의 16U 초소형 광학위성으로, 고해상도 다분광탑재체와 고속 데이터 처리 장치를 갖춰 가시광선·근적외선 기반의 정밀 영상 관측이 가능하다. 위성은 지상 약 500km 상공에서 경기도 지역을 지날 때마다 14×40km 규모를 촬영하며 홍수·산불 등 자연재해, 식생 변화, 토지 피복 변화 등을 모니터링한다. 임무 기간은 3년이며 이후 폐기 또는 연장 운영을 결정하게 된다.
도는 해당 위성에서 확보한 데이터가 토지이용 현황 정밀 모니터링, 재난·재해 피해 확인, 불법 산림·토지 훼손 감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기후위성 사업은 지난해 8월 김 지사가 임기 후반기 중점과제로 발표한 뒤 같은 해 10월 기본계획이 수립됐다. 올해 2~3월 개발·운용 기관 공모를 거쳐 위성이 선정·개발됐으며, 7월 개발이 완료됐다.
도는 내년부터 2호기(GYEONGGISat-2A)와 3호기(GYEONGGISat-2B)를 순차적으로 발사할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