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이 18일부터 이틀간 그룹 최대 기술 행사인 ‘포스코그룹 테크포럼(Tech Forum)’을 개최했다.
1989년 시작된 테크포럼은 그룹 핵심 사업의 기술 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올해로 37회째를 맞았다.
포항공대에서 열린 개회식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을 비롯해 주요 계열사 대표 및 기술 분야 임직원 1300여 명이 참석했다.
장 회장은 환영사에서 “불확실한 경영 환경을 돌파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은 기술혁신”이라며 “현장과 연구소가 함께 참여하는 초격차 기술 과제를 통해 개발 속도를 높이고 그룹의 미래 경쟁력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이어 철강과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핵심 기반인 글로벌 자원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전 직원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해 모든 현장에서 AI 기반 디지털 혁신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개회식에서는 그룹 내 기술 경쟁력 향상에 공헌한 성과를 시상하는 ‘포스코 기술대상’ 시상식도 진행됐다. 올해는 혁신상 2건, 창의상 4건, 도약상 4건, 도전상 3건 등 총 15건이 선정됐다.
최우수상 격인 혁신상은 포항제철소 제강부와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연구센터가 수상했다.
포항제철소의 ‘제강 전(全) 공정 자율 조업 기술’은 제강 공정 전반을 AI로 완전 자동화해 작업자 편차를 제거하고 공정 시간을 기존 대비 약 10% 단축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포스코퓨처엠 양극재연구센터는 ‘전구체 연속식 순환 농축 공정 양산화 기술’을 통해 신공정 도입으로 가공비 절감과 업계 최고 수준의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해 혁신성을 인정받았다.
한편, 올해 테크포럼은 로봇 기술과 핵심 광물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총 25개 기술세션을 운영한다. 내·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해 우수 기술 성과와 최신 연구 트렌드를 공유한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2 Core + New Engine’ 전략을 기반으로 그룹의 자원과 역량을 혁신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시장 변화와 현장 요구를 기술로 신속히 구현하는 ‘Corporate R&D’ 체제 전환을 가속해 초일류 기술기업으로의 도약을 추진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