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종묘 앞에 최대 145미터 건물을 올리는 것 관련해서 "시뮬레이션을 해보니 압도적으로 눈 가리고 기를 누를 정도의 압도적 경관은 전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18일 제333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종묘 앞 세운4구역 재개발 시뮬레이션 3D 이미지를 공개하며 "이 그림이 종로변에 100m가 약간 안 되고 청계천 변에 150m가 약간 안 되는 높이로 지어질 때의 모습"이라며 "정전에 섰을 때 눈이 가려집니까? 숨이 턱 막힙니까? 기가 눌립니까?"라고 반문했다.
오 시장이 이날 공개한 이미지는 종묘 정전 앞 상월대라는 곳에서 평균 신장의 시민이 서서 남쪽, 즉 새로 지어지는 세운4구역을 바라봤을 때의 풍경을 담고 있다.
서울시는 세운4구역에 고층이 지어져도 종묘 정전의 시야각 30도 범위 밖에 있기에 경관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오 시장은 "이 그림이 종로변에 100m가 약간 안 되고 청계천 변에 150m가 약간 안 되는 높이로 지어질 때의 모습”이라며 "과연 이로 인해 종묘의 가치가 떨어지고 정전의 건축학적 아름다움이 저해되는지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지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세운4구역의 건물 최고 높이는 당초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에서 종로변 101m, 청계천변 145m로 변경했다. 그러나 시는 종묘 경계에서 100m 내 건물은 최고 높이가 27도 각도 안에 들어와야 한다는 앙각 규정을 확대 적용해 종로변은 98.7m, 청계천변은 141.9m로 높이를 계획했다.
한편, 오 시장은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권고에 대해선 이것이 국내법상 의무가 아닌 점을 강조했다. 오 시장은 "법적으로 평가받게 된 구역도 아닌데 주민들에게 받으라 강요할 수도 없다"며 "주민협의체에서 동의하지 않으면 신청할 수가 없다"고 주장했다.
세계유산영향평가는 3년 가량 걸리는데 현재 금융 이자는 연 170억원이고 주민들이 500원대 가량 빚을 떠안는다고 오 시장은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