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오는 21일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급식 및 돌봄 공백 등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광주시교육청은 '교육공무직원 총파업 대응 대책'을 수립해 지난 14일 관내 모든 학교에 안내했으며 부교육감을 본부장으로 하는 '비상대응본부'를 즉각 가동했다고 19일 밝혔다.
비상대응본부는 파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학교 현장의 업무 공백에 신속히 대응하고, 학생과 학부모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학생 생활 및 안전과 직결되는 △급식 △늘봄·돌봄 △특수교육 △유아교육 등 핵심 분야에 대해서는 전담 대응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파업으로 정상적인 급식이 어려운 학교는 빵이나 간편식 등 대체 급식을 제공하거나 가정에서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안내하는 등 학교 사정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돌봄교실 역시 파업 참여 인원에 따라 통합 운영 및 대체 프로그램을 활용해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장애 학생의 학습권 보호를 위해 특수학교 통학버스 승하차 인력을 지원하고 유치원 방과후 과정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등 취약 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이 밖에도 교무실무사, 과학실무사 등의 파업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막기 위해 분야별 업무 대행 인력을 사전에 지정해 학교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박래진 시교육청 노동정책과장은 "학생의 안전과 학습권 보호가 최우선인 만큼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동시에 현재 진행 중인 임금교섭도 원만히 타결될 수 있도록 성실히 임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