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특례시는 인공지능(AI), 민생경제, 통합돌봄을 3대 핵심 분야로 정하고 새 정부 국정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연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화성시는 지난 8월부터 국정과제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정부 123대 국정과제 중 시와 연관된 83개 사업을 발굴했다.
이 가운데 60개 사업은 총 2088억 원 규모로 2026년도 본예산안에 반영했으며, 12개 비예산 사업도 함께 추진한다.
또 7개 사업은 내년도 추가경정예산안에 반영할 예정이고, 4개 사업은 정부 건의를 통해 추진한다.
AI 분야에서는 ‘AI 기반 미래 모빌리티 도시 구축 사업’과 ‘AI 혁신학교 사업’을 중심으로 K-AI 시티 구현에 나선다. 화성자율주행리빙랩센터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 실증도시 조성에 집중하고, 공직자·시민 대상 맞춤형 AI 교육을 통해 인재 양성을 추진한다.
민생경제 분야에서는 ‘희망화성 지역화폐’ 1조 원 발행을 목표로 지역화폐 규모를 확대하고, 수출 중소기업 물류비 지원을 강화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기업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
통합돌봄 분야에서는 노인·장애인 중심 돌봄을 넘어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시민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돌봄을 제공하는 ‘화성시 바로이웃 통합돌봄’을 추진한다. 또한 도시형·농촌형 자살예방센터 2개소를 운영해 권역별 정신건강 서비스를 강화한다.
시는 이번 국정과제 연계 사업을 기반으로 중앙부처 공모 및 국도비 확보에도 전략적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정명근 시장은 “AI, 민생경제, 통합돌봄을 중심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실천해 더 나은 화성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